포장재배수도(浦場栽培水稻)의 무기영양(無機營養) -IV 삼요소처리별(三要素處理別) 수량(收量) 및 건물생산량과 N. P. K. Si 흡수량(吸收量)과 관계(關係)

Mineral nutrition of the field-grown rice plant -IV. Relationship between yield, total dry matter yield and up take of N.P.K. Si in N.P.K. simple trial

  • 박훈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 Park, Hoon (In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ORD)
  • 심사 : 1974.10.05
  • 발행 : 1974.12.20

초록

수량(收量) 및 건물생산량과 NPK 및 Si 흡수량(吸收量)과의 단순(單純) 및 다중상관분석(多重相關分析)을 하고 다중회귀식(多重回歸式)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는 수량(收量)에서보다 전건물(全乾物) 생산량에서 크고 N는 무(無)N구(區)와 무비구(無肥區)에서 크고 P는 무(無)P구(區)에서 크며 K는 무(無)K구(區)에서 가장 적다. 2. 다중상관계수(多重相關係數)는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보다 크고 삼요소(三要素)보다 Si를 첨가시킨 경우에 더 크다. 무비구(無肥區)에서 계수가 가장 크고 무(無)K구(區)의 계수(係數)가 가장 적은 경향(傾向)을 뚜렷이 보였는데 단순상관(單純相關)에서도 그러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3. P 흡수량(吸收量)이 많고 이용률(利用率)도 큰 고온(高溫)의 해에는 P의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가 크고 K흡수량(吸收量)이 많고 이용률(利用率)도 큰 저온(低溫)의 해에는 역시 상관계수(相關係數)도 크며 N나 Si도 K를 따랐다. 그러나 수량(收量)과의 다중회귀식(多重回歸式) 계수(係數)에 의(依)하면 N P K Si 모두 고온(高溫)의 해에만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4. K의 회귀계수(回歸係數)는 수량(收量)에 있어서 부(負)로 많이 나타나며 건물생산량에 있어서는 정(正)으로 유의성(有意性)이 컸다. 5. 회귀계수(回歸係數)는 삼요소(三要素)보다 이에 Si를 더 첨가했을 때 삼요소(三要素)의 계수(係數)가 모두 감소(減少)하는데 P가 가장 심하였다. 6. 회귀계수(回歸係數)는 N증시(增施)에 따라 N계수(係數)는 증가(增加)하고 P계수(係數)는 감소(減少)하며 K와 Si계수(係數)는 일정(一定)치 아니 하였다. 7. 상관계수(相關係數)나 회귀계수(回歸係數)의 크기와 유의성(有意性)으로부터 각양분(各養分)의 수량(收量)에의 기여도(奇與度)는 N > Si > P > K 이고 건물생산량에서는 N > K > Si > P의 순위(順位)였으며 N가 중심(中心)으로 기타 양분이 N에 영향하는 방향으로 밀접(密接)하게 상호관련(相互關聯)되었음을 보인다. N 영양(營養)의 주역성(主役性)은 상대수량발현빈도양상(相對收量發現頻度樣相)에서도 나타났다.

The relation between yield or total dry matter yield and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or silica uptake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simple or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1.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ways higher with total dry matter yield than with grain yield and highest with N in no nitrogen (0-6-8) or no fertilizer (0-0-0) plot, with P in no phosphorus plot (10-0-8) but lowest with K in no potassium plot (10-6-0). 2.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ways higher than simple correlation and the same is true with including Si as one more variation. There was clear trend that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st in no fertilizer plot and lowest in no potassium plot. 3.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P was higher in the warm year in which P uptake and fertilizer-P use efficiency were higher while it with K was higher in the cool year in which K uptake and fertilizer-K use efficiency were higher. Nitrogen and silicate followed potassiuum. But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of N. P. K and Si with yield were mostly significant only in the warm year. 4.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 of K was negative in many cases with yield but significant positive value with total dry matter yield. 5.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of N. P and K were decreased when Si was included and the decrease was great in P. 6. With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in N but decreased in P, and no consistency in K or Si. 7. According to single or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the contribution of nutrient to grain yield appears to be in the order of N > Si > P > K and to total dry matter yield in the order of N > K > Si > P, indicating that N is the main factor and other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out to N. The superiority of N was also proved by frequency pattern of relative yiel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