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근(水稻根)의 Amino산(酸) 대사(代謝)에 관한 연구 -제(第) 3 보(報) 수도근(水稻根)의 몇가지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및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amino acid metabolism of young rice root (Part 3) - Effec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respiratory inhibitor on the enzyme activities of rice root -

  • 김용웅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Kim, Young Ung (Dep.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심사 : 1974.09.10
  • 발행 : 1974.12.20

초록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GOT, GPT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와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에 대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窒素)의 형태(形態)에 따른 근(根)과 지상부(地上部)의 신장정도(伸長程度)는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GOT, GPT,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는 반대(反對) 현상(現象)을 나타내었다. 2. 수도근(水稻根)의 ${\alpha}$-naphthylamine의 산화력(酸化力)은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질소농도(窒素濃度)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3.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는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활성감소(活性減少)가 컸으며 삼요소(三要素) 결핍(缺乏)에 의(依)한 영향(影響)은 GOT가 GPT 보다 심(深)했으며 peroxidase는 반대(反對)로 활성(活性)이 증가(增加)하였고 그 경향(傾向)은 무가리구(無加里區) > 무인산구(無燐酸區) > 무질소구(無窒素區)의 순(順)이었다. 4.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가 수도(水稻)의 지상부(地上部)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질소형태(窒素形態)에 따라 억제(抑制) 정도(程度)가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이었다. 5.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에 의한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도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저해(沮害)를 받으며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다.

Some effec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respiratory inhibitor on growth of rice plant and activity of GOT, GPT and peroxidase for the rice root were investigated.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Growth of rice root and plant applied with $NO_3$-N in culture solution was generally increased in the length and weight compared with that of $NH_4$-N plot. On the other hand, the GOT, GPT and peroxidase activity was more increased in the $NH_4$-N plot than in the $NO_3$-N plot. 2. Oxidative power of ${\alpha}$-naphthylamine in rice root was stronger in the $NO_3$-N plot than in the $NH_4$-N plot. 3. When rice plant was cultured in the medium which did not supplied nitrogen, phosphorus or potassium, respectively, GOT activity was more decreased than GPT activity, while peroxidase activity was increased mostly in the potassium-free plot. 4. When rice plant was cultivated in the culture solution added respiratory inhibitor, NaF, plant height was shortened in the order of nitrogen-free > $NH_4$-H > urea-N > $NO_3$-N plot, and GOT and GPT activity was also decreased in the order of nitrogen-free > $NH_4$-N > urea-N > $NO_3$-N plo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