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나무 우량품종(優良品種)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징(特徵)과 증식(增殖)에 관(關)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Traits of Selected Chestnut Races and its Propagation Studies

  • Yim, Kyong-Bi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Ki-Wo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74.03.14
  • 발행 : 1974.06.30

초록

1. 밤나무의 세 가지 접목방법(接木方法) (박접(剝接), 절접(切接), 근접(根接))의 비교에서 박접(剝接)의 활착율(活着率)이 가장 높고 근접(根接)의 활착율(活着率)이 가장 낮았다. 그 결과(結果)에 대(對)한 분산분석(分散分析)에 있어서 5% 수준(水準)에서 세 방법간에 유의차(有意差)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목도(接木刀)와 나무의 삭면(削面)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탄닌산(酸)과 반응(反應)으로 생성(生成)되는 탄닌산철(酸鐵)의 량(量)의 차이(差異)가 그런 결과(結果)의 주요원인(主要原因)의 하나로 생각될 수 있었다. 유태접(幼台接)에 있어서 유근역위접(幼根逆位接)이 유경접(幼莖接)의 활착율(活着率)보다 약간(若干) 높았으나 분산분석(分散分析)에서 두 방법(方法) 사이에 유의차(有意差)는 있었다. 2. 밤나무잎의 대부분(大部分)의 모용(毛茸)는 맥(脈)을 제외(除外)한 잎의 대부분(大部分)에서는 성모(星毛)로 관찰(觀察)되었다. 성모(星毛)안에서 ray의 수(數)는 일반적(一般的)으로 4~8개(個)이었다. 비슷한 환경조건(環境條件)에서 자라는 각품종간(各品種間)에 ray의 수(數)가 다른 성모(星毛)의 분포율(分布率)과 ray의 길이에 있어서 1%수준(水準)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3. 거치기부(鋸齒基部)의 폭(幅)을 제외(除外)하고 수수타(手手打)$_{1,2}$, 금북(今北)$_{1,2}$ 사이에 본연구(本硏究)의 실험항목(實驗項目) 각각(各各)에서 아무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그런 결과(結果)는 본연구(本硏究)를 좀 더 유용(有用)하게 만들었다. 4. 비슷한 환경조건(環境條件)에서 자라는 품종들 안에서는 거치(鋸齒)의 장(長)과 폭(幅)에서 1% 수준(水準)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5. 모용(毛茸)의 말림, 엽록(葉錄)과 이루는 거치(鋸齒)의 각도(角度), 거치(鋸齒)안에서의 측맥(側脈)의 존재(存在), 거치내(鋸齒內)로의 주맥(主脈)의 침입(侵入), 주맥(主脈)의 넓이는 밤나무 품종식별(品種識別)의 보조수단(補助手段)으로 유용(有用)하리라는 것이 관찰(觀察)되었다.

1. In the comparison of survival ratio among three different methods(bark graft, veneer graft, root graft), bark graft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io and root graft was the lowest. It was shown to b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5% in the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results. It was able to be supposed that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e results was the different amounts of ferric tannic acid which was formated owing to the reaction of grafting knife with tannic acid oozing from cutting faces of the tree. In juvenile tissue graft, the survival ratio of inverted radicle graft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juvenile stem graf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in analysis of variance. 2. The most hairs of chestnut tree leaves were recognized as stellates on the most part of leaves except for venation. The number of rays in the stellates was ranged from 4 to 8 generally. It was shown to b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1% among the each race growing at the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length of ray and the distributed ratio of the stellates having different ray number. 3. Excepting for the basal width of ser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akita_1$, $Imakita_2$ as well as between $Teteuchi_1$, $Teteuchi_2$ at the each point of experimental items in this study. Such results made this study more useful. 4. Among the races that were growing in the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1% in the length and the width of serration. 5. The rolling of hair, the angle of serration from the leaf margin, the existence of lateral vein in the serration, the intrusion of main vein into the serration and the width of main vein were observed to be somewhat useful as the subsidiary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chestnut ra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