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chemical Study on the Mucous Secreting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Mucosae of Rana rugosa according to Hibernation

동면에 따른 옴개구리(Rana rugosa) 위장관 점액분비세포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 정영화 (카톨릭의대 . 생물학교실) ;
  • 노용태 (카톨릭의대 . 생물학교실) ;
  • 김한화 (카톨릭의대 . 생물학교실)
  • Published : 1974.06.01

Abstract

The mucosubstances in the gastrointestinal mucous secreting cells of Rana rugosa were detected histochmeically during pre-hibernating, hibernating, post-hibernating and active phases.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were as follows: 1. The mucosubstances in the gastrointestinal mucous secreting cells of active frog were strongly PAS-active in stomach, PAS-active and alcianophilic at pH 2.5 in small intestine and alcianophilic at pH 2.5 in large intestine. 2. The PAS-active mucosubstances in the gastric surface epithelial cells were increased remarkably during hibernation. 3. The alcianophilic mucosubstances at both pH 2.5 and pH 1.0 were decreased remarkably in the goblet cells of small intestine during hibernation, but a little PAS-active ones were increased. 4. The alcianophilic mucosubstances at pH 2.5 were decreased remarkably and a lttle PAS-active ones also were done in the goblet cells of large intestine during hibernation. 5. The increases of the contained quantity of mucosubstances in the gastric surface epithelial cells during hibernationi may have theeffects of preventing cohesions of gastric mucosae and suppressing activities of gastric acid and enzymes. The mucosubstances neutral acidity in the intestine during hibernation may be secreted, because of acidity being done near neutrality in its lumen, due to remarkable decrease of intestinal juices and gastric acids.

동면 전, 중, 후 및 활동기간 동안 옴개구리(Rana rugosa)의 위장관 점액분비세포내 점액성 물질의 변화를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옴개구리의 위장관 점막내 점액성 물질은 위 표면상피세포에서 PAS에, 소장 배상 세포에서는 PAS와 AB 2.5에, 그리고 대장 배상세포에서는 AB 2.5에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2. 동면에 따라 위 점막분비세포내 PAS 양성인 중성 점액질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3. 동면에 따라 소장내 AB 2.5에 양성인 약산성 점액질과 AB 1.0에 양성인 산성 유화 점액질은 현저히 감소를 보이는 반면, PAS 양성인 중성 점액질은 약간 증가를 보였다. 4. 동면에 따라 대장내 AB 2.5에 양성인 약산성 점액질은 아주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PAS양성인 중성 점액질도 역시 다소 감소를 보였다. 5. 동면시 위점막 상피세포내에서 PAS양성인 점액질은 그 분비능이 합성능에 미치지 못하여 현저히 증가되며, 위 점막의 접착을 방지하고, 위산 및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장내 배상세포에서는 위산 및 장액분비의 현저한 감소로 장내 산도가 중성에 가까워져서 중성에 가까운 점액물질을 분비하는 것으로 추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