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Volume 6 Issue 2
- /
- Pages.89-93
- /
- 1973
- /
- 0367-6315(pISSN)
- /
- 2288-2162(eISSN)
Studies on the Effect of some Chemical Soil Components in relation to Rice Yield in Heavy Textured Paddy Soils developed on Alluvial Terrace
홍적대지에 발달된 중점질 논토양에서 벼 수량에 미치는 수종 화학성분의 영향에 관한 연구
- Ryu, In Soo (Institute of Plant Environment) ;
- An, Sang Bae (Institute of Plant Environment) ;
- Park, Chon Suh (Institute of Plant Environment)
- Accepted : 1973.03.06
- Published : 1973.06.20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some chemical components of surface soils on the paddy yield in clayey Whadong series developed on old alluvium, NPK fertilizer experiments conducted from 1966 to 1969 were reviewed and discussed, and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ddy rice production of Whadong series without fertilizers varied from 156kg to 719kg per 10a. 2. The paddy yields in Whadong series were associated mainly with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orus in surface soils, but not with those of exchangeable K, Ca, and Mg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in these soils more effected in the paddy yield than those of phosphorus did. 4. In case less than 2.0% or more than 3.0% of organic matter in surface soils the effect of phosphate application was appreciable. The effect, however, was not recognized from 2.0 to 2.9% of organic matter.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able to make. a. In case of less than 2.0% of organic matter, the effect was considered to be due to deficiency of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 b. In case of more than 3.0% of organic matter, the greater effect was considered to be due to inhibition of P uptake even in higher P contents in soil. c. Consequently, correlation study of P testing in paddy soil should be limited to the soils which contains less than 2% of organic matter. d. If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in paddy soils were above 3.0%, the effect of P application was considerable and considered to be due to inhibition of nutrient uptake.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e increased application of P does not improve the production of paddy in such soils.
홍적대지에 발달된 식질계 토양인 화동통에 있어서 벼수량에 미치는 작토의 수종 화학성분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 연구할 목적으로 과거의 3요소 시험에서 얻은 성적들을 종합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비료를 시용하기 않었을 때의 화동통의 벼생산량은 158kg에서 719kg까지의 큰수량이 차이를 보이며, 2. 화동통에서의 벼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은 작토중의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이고 치환성카리, 석회, 고토및 양이온치환용량등은 수량과 상관이 없었다. 3. 화동통에서 벼수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작토중의 인산함량 보다는 유기물 함량이었으며, 4. 작토중 유기물함량이 2.0%미만인 경우와 3.0%이상인 경우에는 인산질 비료의 시용효과가 현저히 컸으나 유기물 함량이 2.0~2.9%인 경우에는 인산질비료의 시용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추정이 가능하였다. 가. 작토중 유기물함량이 2.0% 미만인 경우는 작토중의 유효인산의 결핍으로 인하여 인산질 비료의 효과가 나타난다고 판단되었으나, 나. 작토중의 유기물 함량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유효인산함량 부족때문이 아니고 토양중의 유효 인산함량은 많었어도 작물의 인산흡수 저해로 말미아마 인산 비료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 따라서 논토양에서의 인산검정 상관연구에서는 유기물함량이 2% 이하인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며, 라. 유기물함량이 3.0%를 넘는 논토양에서는 인산비료의 시비효과는 크나 이는 양분흡수저해 때문이라고 판단되었기에 인산의 시용만으로는 근본적인 벼 증수대책이 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