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termination of Consumptive Use Needed in the Vegetable Plots for the Prevention of Drought Damage

고등채소의 한해를 방지하기 위한 포장 용수량 결정에 관한연구

  • Published : 1973.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determine the minimum consumptive use of water for Korean cabbage and turmp, so that the minimum water requirement can be secured always for a stable cultivation of these vegetables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periods; first one from May to July and second one from August to October, each experiment with two varieties of cabbage and two varieties of radish with 2 replicants and 15 treatments. The results found from the above are briefly as follows: 1. Since the mean soil moisture equivalent 64 days after the treatment was 28.5%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at the time was 2.67% which is far less than that of the wilting point, the crop seemed to be extremely caused by a drought. 2. The rate of 51 days after the seeding, soil moisture content of plot No.2 where irrigation has been continuous was the highest or 21.3%, whereas the plot No.14 without irrigations was 11.2% and the lowest. Therefore, the soil moisture content for the minimum qrowth seemed to be 20%. 3. The consumptive coefficient of Blaney and Criddle on cabbage in two periods were K=1.14 and 0.97 respectively, and on radish in two periods were K=1.06 and 0.86 respectively, thus, cabbage was higher than radish. The consumptive coefficient in the first experiment (May-July) was 0.17 to 0.20 higher than the 2nd experiment(August-October). 4. Nomally, cabbage and radish germinate within one week, however, the germination ot these crops which were treated with a suspended water supply from the beginning took two full weeks. 5. When it elapsed 30 days after seeding, the conditions in plot 1,2 and 3 were fairly good however, the crops in the plops other than these showed a withering and the leaves were withered and changed into high green due to an extrem drought. Though it was about same at the beginning, the drought damage on cabbage was worse than that on radish period, and the reasos for this appears in the latter that the roots are grown too deep. 6. The cabbage showed a high affinity between treated plots and varietie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cabbage is very suseptive to drought damage, and the yield showed a difference of 35% to 56% depending on the selection oe varieties. 7. The radish also showed a high affinity between the treated plots, however, almost us affinity existed between varieties. Therfore, the yield of radish largely depends on the extent of drought, and the selection of variety does not affect at all. 8. The normal consumptive use on cabbage is $0.62{\ell}/sec$, while that on radish is $0.64{\ell}/sec$, and the minimum optimum water requirement that was obtained in this study is $4,000cc/day/m^3$ or $0.462{\ell}/sec/ha$.

본 시험연구에서는 한발시에 배추와 무우의 최저용 수량을 규명하여 한발시에도 안심하고 수확을 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우리나라에서 밭 작물에 관개를 하지 않고 천후의 농업을 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전천후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구와 역점을 두었다. 따라서 그 첫단계로 채소를 통하여 밭작물의 관개 예의한 증수와 한해를 극복하며 나아가서 다른 밭작물도 여기에 준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배추와 무우를 보통 원예시험장 재배법에 준하여 재배하면서 용수관리는 수평방향의 지하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깊이를 1m까지 파고 비니루자루로 씨웠다. 그 위에는 $1m{\times}1m$의 시험구를 만들어 외각은 나무로 사각형을 만들어서 관수량이 외부로 흐르지도 않고 외부의 물 1m 지하에 있는 지하수만 연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모세관 현상으로 상승 할수 있게 하였다. 포장 전체는 비닐하우스를 지어 강우를 차단하고 급수에만 의존했으며 통풍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지상까지는 비니루를 차단하지 않고 60cm 이상을 차단하여 그림 1과 같은 외부의 강우에 영향을 제한했다. 그 결과 포장내에 기온이 y=0.46+1.09x 라는 관계식으로 포장내에 온도가 외기온 보다 상승함을 나타냈다. 시험구는 배추2품종, 무우 2품종에 2반복 15처리로 120구에 보통구 8구로 128구에 대하여 1차시험은 $5{\sim}7$월에 2차 시험은 $8{\sim}10$월에 시행하고 관수 처리를 해서 1일 관수는 아침 저녁으로 4,000cc를 나누어 주었다. 4,000cc/일는 0.462l/sec/ha에 해당하며 배추의 용수량 0.62l/sec/ha나 무우의 용수량 0.64l/sec/ha보다 별로 적지 않은 최소의 용수량이다. 배추나 무우는 파종후 초기에 다 한발을 받으면 생장에 심한 타격을 주었고 배추는 생장기간 내내 계속 관수가 필요로 했고 무는 생장이 초기 중기를 지나면 뿌리가 깊이 발달하여 후기에 한발 처리는 크게 생장의 위축은 가져오지 않았다. 또한 무우나 배추가 공히 1차시험($5{\sim}7$월) 때가 2차시험($8{\sim}10$월)보다 더 많은 수분을 필요로 했는데 동일량을 급수했으므로 더 심한 한해를 받았다. 이 실험치는 Blaney and Criddle 값도 똑같이 배추와 무우의 1차 시험치는 소비량계수 K가 1.14와 1.06이였고 2차시험에는 0.97과 0.86으로 $0.17{\sim}0.20$정도 더 높았다. 또한 배추는 품종에 따라 심한 수확량차를 보였으나 무우는 그렇지는 않았다. 또 배추와 무우를 공히 처리(No.2)와 보통구와 수확량 이 비교를 했을 때 처리구(계속관수구)가 양호했고 품종은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종합으로 미루어 보아 보리, 밀, 콩, 감자, 당근등 각종 밭작물도 유사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고 우리나라와 같이 산지개발 면적이 많이 가지고 있어 이곳에 알맞은 적지 적소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도 밭관개 및 한해 시험은 계속 연구되어야 하며 앞으로 밭작물 증수에 크게 기대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