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극파열자음발음시의 생리기전

STUDIES ON KOREAN PHONOLOGY (PART II) -;HYSIOLOGICAL PRODUCTION MECHANISMS OF KOREAN STOP CONSONANTS(Summarized Version)-

  • 김병욱 (미국위스컨신대학언어병리학ㆍ동 밀워키분교언어병리학연구소)
  • 발행 : 1972.09.30

초록

한글의 파열자음(Plosive Consonants of stop consonants)인 ㄱ, R, ㅋ, ㅃ, ㅍ이나, ㄷ, ㄸ, ㅌ의 삼중 구별은 외국어에서는 찾아 볼수 없는 한글 고유의 특성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이는 한국인 학자에게 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자에게도 크나큰 관심사가 되어 왔다. 그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가 소위 파열자음의 생리기전면에서 볼때, p,b나 k,g의 구별이 단순히 무성(Voiceless)대 유성(Voiced)의 차이냐 또는 근육의 힘의 차이냐 하는 문제가 오랫동안 국제학계에서 논난의 대상이 되어왔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기이하게도 한글의 파열자음은 모두 무성자음으로 외국어에서 볼수있는 유성대 무성의 대조는 없으며, 다만 근육의 gal의 대조가 있지 않을까 생각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 세가지 종류의 한글파열자음 발음시의 생리기전의 차이를 규명한 연구가 없었다. 저자는 이점에 착안하여 미국 위스컨신대학교 언어병리학 및 생리학 실험실에서 고도로 발달된 최신 연구기구를 이용하여 한글파열 자음 발음시의 생리기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영문초록에 기술되어 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