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mpleted Mineral Fertilizer on Barley

보리에 대한 종합무기성분 거름의 효과

  • Published : 1972.05.05

Abstract

The effect of completed mineral fertilizer on barley was investigated on ordinary upland and newly recrimed soil derived from granite, basalt and shale. 1. Yield of barley grains with application of completed meneral fertilizer 1 level varied from 100.8% to 233.1% on various soils in different parents rock, and 2 levels of the fertilizer varied from 250.1% to 309.5% on ordinary upland and newly recrimed soil derived from granite compared with control plot. But no effect on newly recrimed soil derived from basalt and shale. 2. $P_2O_5$, MgO and B contents in straw were increased, but Mn contents was decreased on all of soil. N contents in straw was decreased on the soil derived from granite, but $K_2O$ contents was increased on the soil derived from basalt and shale. 3.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absorbed nutrient had related with positive correlection of 1-5%. 4. N and Mn contents in soil were decreased by application of completed mineral fertilizer, but soil pH, C.E.C. $Av-P_2O_5$, Ex-CaO, Ex-MgO and B contents were increased. Especially soil pH and C.E.C. were increased remarkably. 5.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Ex-CaO and Ex-MgO contents in soil had related with positive correlation, but Mn contents had related with negative correlation.

밭 토양 특히 신 개간지 토양에서 결핍되기 쉬운 무기성분을 종합적으로 함유하는 종합 무기성분 거름을 제조하여 그 비효를 조사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로 모임별 토양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 1. 자실수량은 산성모암인 화강암을 모재로한 토양에서 그도의 종수 효과를 보였으나 염기성 모암인 현무암 및 혈암을 모재로한 토양에서는 그 시용효과가 없었다. 2. 화강암을 모재로한 토양에서는 C.M.F시용량에 비례하여 자실수량이 증가하였으나 현무암 및 혈암토양에서는 C.M.F. 1수준(118.5kg/10a)에서는 약간 증수하는 경향이었으나 2수준(237.0kg/10a)에서는 오히려 감수하는 경향이였다. 3. C.M.F 시용에 따른 식물체중 양분함량변화는 점소는 염기성모암을 모재로한 토야에서는 별 차이가 없으나 산성모암을 모재로한 토양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칼슘함량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으며 인산, 마그네슘 및 붕소는 각 토양에서 공히 증가하였고 가리는 화강암을 모재로한 숙전토양에서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그외 토양에서는 모두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 양분의 식물체중 흡수량은 C.M.F. 시용으로 각 성분 공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자실수량과의 관계는 1~5%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C.M.F시용에 따른 작물 수확후 토양중 잔류양분함량 변화를 보면 질소 및 치환성 망강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pH, C.E.C., $Av-P_2O_5$, Ex-CaO, Ex-MgO 및 수용성 붕소 함량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중 잔류된 무기양분 함량과 자실수량과의 관계를 보면 Ex-CaO. 및 Ex-MgO 함량과는 1%수준의 정상관관계를 치환성 망강량과는 1%수준의 부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