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함량에 따르는 흰쥐의 체내 대사 연구

A study of metabolic effect in high and low fat diet on Albino Rat

  • 김숙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 영양학과) ;
  • 조명죽 (이화여자대학교 식품 영양학과)
  • Kim, Sook-He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Jo, Myuong-Jook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1972.12.31

초록

male female 80 마리의 흰쥐를 저지방식, 고지방식, 무지방식, 표준식이를 주어 16주간 동안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물의 체중증가율 질소의 이용율, 간과 serum 내의 성분의 변화를 분석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지방의 식이내 함량에 따라서 체내 질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으로 총 질소 보유율과 serum 내의 총단백질 albumin, globulin 의 함량, 각 장기 내의 질소 함유량들을 보았으나 대체적으로 현저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각 장기에 있어서 총 질소 함유량을 보면 liver 와 spleen 이 식이 성분에 대해서 예민한 반응을 보였으며, brain 이 가장 적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한편 serum 내 glucose함량에는 식이 함유된 지방 함량에 따라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산발적으로 나타났지만 저지방군과 표준군을 male female에서 비교해 보면 다 같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이로 미루어 보면 2% 저지방군이 serum 내의 glucsoe 양에는 영향을 크게 미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serum 내 lipid 와 cholesterol 의 함량은 식이내 함유된 지방량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고지방군인 30% 지방 첨가로 serum 내의 lipid 와 cholesterol 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저지방군인 2% 의 식이내 지방 첨가는 표준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아 2%의 저지방군이 지방질 체내 축척에 있어서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 한국 영양 섭취 실정으로 미루어 보면 지방의 섭취량을 우선 일정량으로 올리는 것이 중요한 일이라고 보는데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식사내 2% 지방 첨가가 표준군과 모든 면에서 유사하였다. 반면 대부분의 구미 각국에서는 총열량에 대한 지방량의 비율이 $30{\sim}40%^{7)}$로서 상당히 많은 량의 지방을 섭취하고 있으나, 이들 각국은 지방 섭취량을 저하시키는 경향이므로 지방 섭취량의 대한 권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본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metabolic effect of various levels of fat in the diet. Forty males and the same number of females weighing $35{\pm}29$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10 rats each in both sexes. The dietary lipid contents were included in three levels, 2% as low, 30% as high and fat free diet in order to reflect the lipid consumption of present Korean diet. 20% sugar casein diet were employed as standard for control animals. This study was carried for 16 weeks. After these period animals were sacrificed to collect the internal organs and blood samples by heart punctur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 fat diet group is lower than low fat diet group in the body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protein efficiency ratio, urinary nitrogen and organ nitrogen contents were same trend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respects. It was noteworty that high, and free fat diet group revealed more glucose total protein, albumin and globulin contents in the serum than other compared groups. It can be concluded that fat content whether low or high are free in the diet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body nitrogen metabolism. But 30% high fat diet increased the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in the liver and the serum. This fact can be interpreted that 2% low fat diet and fat free diet do not need to increase the amount of fat content in the diet as high as 30% fat diet. This result might indicate the one possible reason to decide the recommanded dietary fat levels in Korean di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