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양(韓國土壤)의 방사능(放射能)에 관(關)한 연구(硏究) (I) - 답토양(畓土壤)의 β 방사능(放射能) 및 40K 핵종동정법(核種同定法) -

Radioactivity in soils (I) -A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40K and measurement of beta activity in paddy soils

  • 김태순 (원자력청방사선농학연구소)
  • Kim, Tai Soon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발행 : 1971.04.30

초록

가. 토양(土壤)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여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 중(中)에서 $^{40}K$의 기여(奇與)를 $^{40}K$${\beta}$ 선(線) 포화(飽和) 방사능비율(放射能比率)을 사용(使用)하여 전(全) ${\beta}$ 선(線) 분석(分析)을 시도(試圖)한 결과(結果) 답토양(畓土壤)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은 $^{40}K$${\beta}$ 방사능(放射能)에 기곤(起困)함을 알았다. 따라서 답(畓) 토양(土壤)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한다는 것은 실(實)은 $^{40}$${\beta}$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는 것이다. 나. 전(全) ${\beta}$ 방사능(放射能)으로 부터 $^{40}K$의 핵종(核種) 동정(同定)을 행(行)하는 순서(順序)는 임의시료량(任意試料量)의 방사능측정(放射能測定)와 $^{40}K$의 포화(飽和) 방사능(放射能) 비율(比率)로 계산(計算)한 계산치(計算値)((4)식(式)에서 $G(t){\cdot}A_{\infty}$ 또는 A/G(t))와 비교(比較)하여 일치(一致)되는지를 Chauvenet 기준(基準) 따라서 검정(檢定)한다. 만약에 일치(一致)하지 않을 경우에는 $^{40}K$ 외(外)의 다른 핵종(核種)의 기여(寄與)를 의미(意味)하며 (7)식(式)에 의(依)하여 $^{40}K$과 다른 핵종(核種)을 분별(分別)하여 각각의 방사능(放射能) 붕양율(崩壤率)을 구(求)할 수 있다. 다. 한국(韓國) 답(畓) 토양(土壤)의 $^{40}K$ ${\beta}$ 방사능(放射能)은 $17.5{\sim}44.6{\mu}{\mu}ci/gr$. soil 사이에 있으며 이를 다시 모암(母岩) 별(別)로 보면 석회암(石灰岩)>화강암(花崗岩)>편암(片岩)>편마암(片麻岩)>반암(斑岩)>현무암(玄武岩)>섬녹암(閃綠岩)의 순(順)이다.

A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and measurement of beta activity due to $^{40}K$ have been developed in this institute. The method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 $$G(t)=\frac{A}{A_{\infty}}=1-e^{-{\eta}t}$$ where: G(t)=fraction of maximum activity A = counting rate of thickness $A_{\infty}$= saturation activity ${\eta}$= mass absorption coefficient of $^{40}K$ By this technique, total beta activity in 92 Korean paddy soil s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part of the country, have been determined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reported in this paper. Most of the beta activity in soils have been accounted for to be due to $^{40}K$.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