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on the Numbers of Workable Days for Earth Works in Different Regions in Korea (Part II)

한국의 지역별 토공가능일수에 관한 조사연구

  • Published : 1971.09.01

Abstract

1. Being seen at the table (20), the number of days which monthy average air temperatures are three degrees of Celsius thermometer($3^{\circ}C$) or more, is the highest marks to be 365 days at Cheju, secondly, 334 days at Pusan, and, Ulsan, Pohang, Mokpo,Yosu and Ullung-Do which all are coastal region are all 306 days, besides, all north area of Taegu and Kwang ju have 275 days consquently, there are 90 days, differanc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2. Being seen at the table(22), freezing dates to be influenced upon earth works are obtained, if (1) item is subtracted from 365 days one year. 3. Being seen at the table(18), number of rainy days of which records are 1 millimeter and over to be influenced upon earth through works, days which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s are $3^{\circ}$ or more, is the maximum to be 100 days at Cheju and its minimum is 60 days at Taegu. Every other region show 70 days or so. But Ullung-Do is 90 days. 4. Being seen at the table (26), the numbers of annual earth works possibility days(4) are obtained, if the values (3) which number of rainy days more than 1 millimeter during the same period are multiplied by 1.27(coefficient of hindrance to earth works) are subtracted from the number of days which monthly average air temperatures $3^{\circ}$ or more [(1)-(3)=(4)]. 5. The number of annual earth works possibility days by regional groups is the maximum to be 242 days at Pusan, and Cheju are 239 days. Other regions are from 218 days to 181 days, namely, they are about 200 days.

평균적기온(平均的氣溫) $3^{\circ}C$이상(以上)의 일수(日數)는 표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고(最高) 365일(日)로서 제주(濟州)이고, 다음이 부산(釜山)으로 334일(日) 그리고 해안지역(海岸地域)인 울산(蔚山), 포항(浦項), 목포(木浦), 여수(麗水) 및 울릉도(鬱陵島)가 306일(日)이고 기타(其他) 대구(大邱), 광주(光州) 이북(以北) 지역(地域)은 공(共)히 275일(日)로 최고(最高)와 최하(最下)는 90일(日)의 간격(間隔)이 있다. 2. 토공(土工)(전압(轉壓))작업(作業)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동토기간(凍土期間)은 표-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년(年) 365일(日)에서 표-26(1)항(項)의 일수(日數)를 감(減)하면 된다. 3. 월평균기온(月平均氣溫) $3^{\circ}C$이상(以上)의 일(日) 중(中)에서 1mm이상(以上)의 강우일수(降雨日數)는 토공(土工)(전압(轉壓))작업(作業)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소(要素)로서 표-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고(最高)는 100(日)로서 제주(濟州)이고, 최하(最下) 60일(日)은 대구(大邱)이다. 타지역(他地域)은 거의 모두가 70일(日) 내외(內外)이고 다만 울릉도(鬱陵島)만이 90일(日)이다. 4. 년중(年中) 토공(土工)(전압(轉壓))가능일수(可能日數)(4)는 표-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월평균기온(月平均氣溫) $3^{\circ}C$이상(以上)의 일수(日數)(1)에서 이 기간중(期間中)의 1mm이상(以上)의 강우일수(降雨日數)에 1.27(토공지장계수(土工支障係數)을 승(乘)한 값(3)을 감(減)하면 [(1)-(3)=(4)] 된다. 5. 지역별(地域別) 년중(年中) 토공(土工)(전압(轉壓))가능일수(可能日數)는 최고(最高) 242일(日)로서 부산(釜山)이며 다음은 제주(濟州)로서 239일(日), 기타(其他)는 181일(日)${\sim}$218일(日) 양(郞) 200일(日) 내외(內外)로 되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