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생충병관리의 현황(現況)과 효율적방안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Present Status and a Proposal of the Prospective Measures for Parasitic Diseases Control in Korea

  • 노인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Loh, In-Kyu (Department of Epidemiology,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70.10.01

초록

우리나라에서 공중보건상(公衆保健上) 중요(重要)한 연충류감염에 대(對)하여 1969년(年) 현재(現在) 실시(實施)한 관리(管理) 현황(現況)을 조사(調査)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보면 1966년(年)부터 1969년(年)까지의 학생기생충검사 및 회충구충 사업(事業)에 있어서 그 간(間) 회충감염률의 저하(低下)를 별(別)로 가져오지 못하였음이 나타났으며 따라서 앞으로 본(本) 사업(事業)의 개선(改善) 또는 보다 적극적인 사업(事業)의 추진(推進)이 요망(要望)된다. 보건사회부(保健社會部)에서 지정(指定)한 지역(地域)에서 $1965{\sim}1968$년(年)의 4년간(年間)에 실시(實施)한 폐(肺) 및 간(肝) 디스토마 집단치료사업(集團治療事業)에 있어서는 추정환자수(推定患者數)의 감소(減少)를 크게 가져오지 못하여 사업(事業)의 부진(不振)함을 나타내었다. 구충제제조에 있어서 너무 많은 제조회사(製造會社)에서 많은 종류(種類)의 상품(商品)이 제조(製造)되어 난맥(亂脈)을 이루고 있었으며 따라서 구충제 제조허가(製造許可)에 있어서의 재고(再考)가 요구(要求)된다. 인분처리(人糞處理) 상황(狀況)에 있어서 도시지역(都市地域)에 있어서는 위생적(衛生的)인 하수도(下水道)가 미비(未備)되고 하수종말처리장(下水終末處理場)이 전연(全然) 없고 수거처리(收去處理)되고 있으며 한편 농촌지역(農村地域)의 인분처리(人糞處理)는 거의 수임상태(收任狀態)로 비위생적(非衛生的)이어서 기생충 전파(傳播)의 가장 큰 요인(要因)의 하나가 된다. 인분사용금지구역(人糞使用禁止區域)으로 지정된 전국(全國) 55개(個) 지역중(地域中) 34개(個) 지역(地域)에서 총(總) 170건(件)의 토양(土壤)(밭흙)을 채취하여 검사(檢査)한바 그중(中) 44%에서 회충난이 검출(檢出)되었다. 청정채소보급소(淸淨菜蔬補給所)와 일반시장(一般市場)에서 판매하는 각종 채소(菜蔬) 각(各) 64건(件)씩을 구입하여 검사(檢査)한바 회충난검출률은 보급소(補給所)의 것이 25%, 일반시장(一般市場)의 것이 36%로 나타났다. 전국(全國) 보건소(保建所)에서의 기생충병관리사업 실적(實績)과 기생충 검사능력(檢査能力)은 저조(低調)하였다. 보건사회부(保健社會部)의 기생충병 관리(管理) 예산(豫算)은 아주 적으며, 세로판후층도말법(厚層塗抹法)에 소요(所要)되는 실비(實費)를 산출(算出)한바 1건당(件當) 8원이었다. 기생충병 관리원칙(管理原則)은 기생충 자체(自體)의 생활사(生活史)를 중심(中心)으로 하는 요인(要因)과 이에 영향을 주는 제환경적(諸環境的) 요인(要因), 그리고 감염(感染)과 관계되는 인간숙주측(人間宿主側) 요인(要因)등의 여러가지 요인(要因)에 의(依)해서 발생(發生)되는 기생충감염의 생성과정중(生成過程中)의 어느 한 부분(部分) 또는 그 이상(以上)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그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들수 있다. (1) 감염자(感染者)에 대(對)한 집단치료(集團治療)로서 감염(感染)의 근원(根源)이 되는 병원소(病原巢)를 제거(除去)한다. (2) 보충동물을 제거(除去)함으로써 인체감염(人體感染)과 관계되는 동물병원소(動物病原巢)를 제거(除去)한다. (3) 보충숙주의 배설물(排泄物)에 대(對)한 위생적(衛生的) 처리(處理)인바 여기에서 주요(主要)한 것은 도시지역(都市地域)에서의 완비(完備)된 하수도(下水道)와 하수종말처리장(下水終末處理場), 그리고 농촌지역(農村地域)에서의 비흡취식(非吸取式)인 위생적편소(衛生的便所)의 설치(設置) 등이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의 인분비료사용(人糞肥料使用)의 폐지(廢止)와 국가경제(國家經濟)의 향상(向上)으로서 그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할 수 있게 된다. (4) 매개체(媒介體) 및 중간숙주(中間宿主)의 관리(管理)로서 토양(土壤)의 기생충오염방지, 식품위생(食品衛生), 곤충관리 그리고 패류관리(貝類管理) 등을 들 수 있다. (5) 비위생적(非衛生的) 태도(態度)와 폐습(弊習)의 개선(改善)으로서 기생충감염과 관계 있는 입분비료(入糞肥料)의 사용(使用), 식습관(食習慣) 및 개인위생(個人衛生) 등이 문제된다. (6) 화학예방(化學豫防) 및 예방접종(豫防接種)은 전술(前述)한 바와같은 전파예방(傳播豫防) 조치(措置)가 실패(失敗)하는 경우 체내(體內)에 침입(侵入)되는 기생충체를 체내(體內)의 방어력(防禦力)에 의(依)하여 그 감염(感染)의 성립(成立)과 성충에의 발육(發育)을 방지(防止)하려는 조치(措置)로서 이에 대(對)한 앞으로의 보다 적극적인 연구(硏究) 개발(開發)이 요망(要望)된다.

The present status of control measures for public health important helminthic infections in Korea was surveyed in 1969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activities of parasitic examination and Ascaris treatment for the positives which were done during 1966 to 1969 were brought in poor result and could not decrease the infection rate. It is needed to improve or strengthen the activities. The mass treatment activities for paragonimiasis and clonorchiasis in the areas which we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were carried out during 1965 to 1968 with no good results in decrease of estimated number of the patients. There were too many pharmaceutical companies where many kinds of anthelmintics were produced. It may be better to reduce the number of anthelmintics produced and control the quality. The human fece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helminthic infections, was generally not treated in sanitary ways because of the poor sewerage system and no sewage treatment plant in urban areas and insanitary latrines in rural areas. The field soils of 170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34 areas out of 55 urban and tourist areas where night soil has been prohibited by a regulation to be used as a fertilizer, and examined for parasites contamination with the result of Ascaris egg detection in 44%. Some kinds of vegetables of 64 specimens each from the supply agents of parasite free vegetables and general market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parasites contamination with the results of Ascaris egg detection in 25% and 36% respectively. The parasite control activities and the ability of parasitological examination techniques in the health centers of the country were not satisfactory. The budget of the Ministry of Health for the parasite control was very poor. The actual expenditure needed for cellophane thick smear technique was 8 Won per a specimen. As a principle the control of helminthic infections might be led toward breaking the chain of events in the life cycle of the prasites and eliminating environmental and host factors concerned with the infections, and the following methods nay be pointed out. 1) Mass treatment might be done to eliminate human reservoirs of an infection. 2) Animal reservoirs which are related with human infections night be eliminated. 3) The excretes of reservoirs, particularly human feces, should be treated in sanitary ways by the means of sanitary sewerage system and sewage treatment plant in urban areas and sanitary latrines such as waterborne latrine, aqua privy and pit latrine in rural areas. The increase of national economical development and prohibition of the habit of using night soils as a fertilizer might be very important factors to achieve the purpose. 4) The control of vehicles and intermediate hosts might be done by the means of prohibition of soil contamination with parasites, food sanitation, insect control and snail control. 5) The improvement of insanitary attitudes and bad habits which are related with parasitic infections night be done by the means of prohibition of habit of using night soils as a fertilizer, and improving eating habits and personal hygiene. 6) Chemoprophylactic measure and vaccination may be effective to prevent the infections or the development of a parasite to adult in the bodies when the bodies were invaded by parasites. Further studies and development of this kind of measures are nee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