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의 증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ABALONE

  • 변충규 (국립수산진흥원 여수분소)
  • 발행 : 1970.10.01

초록

1. 1969년 10월에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를 재료로 하여 간출 자극에 의한 산란 유발 시험을 실시하여 다량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정율은 1차가 약 $50.0\%$ 2차가 약 $30.0\%$였다. 2. 산란시의 수온은$16.0^{\circ}\~23.0^{\circ}C$내외였으며 사육 수온 $14.0\~18.8^{\circ}C$범위에서 발생 경과시간은 Torcho-phore기(담륜자)까지는 약 22시간, Veliger기(피면자)까지는 약 34시간, 부유 유생기 까지는 $2.5\~3$일이 경과되었으며 7일 경가후부터 부착이 시작되어 9일째는 섬모가 없어지면서 부착이 완료되었다. 이어서 주구각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첫 호수공은 110일만에 생겼다. 3. 10웜 10일에 산란 부화한 유생의 성장크기는 15일만에 0.40mm로 크고, 49일만에 1.39 mm의 포복기 유생으로 자랐다. 첫 호수공은 110일만에 2.14 mm로 큰 후에 생겼으며, 월동이 끝나는 170일 만에는 5.20 inn로 크고 228일만에 10.00 mm로 자랐다. 그 월별 성장은 $L=0.9981\;e^{0.17659M}$의 관계식으로 표시된다. 4. 부유 유생의 사육 밀도는 약 10개/100cc 내외로 하였으며, 부착기는 $30\times20\;cm$ 크기의 굴곡이 있는 플라스틱 판을 사용한 결과 약 $10\~600$개가 부착하였으나 부착 직전에 넣은 것과 저면에 둔 것이 부착율이 양호하였다. 5. 부착 후의 폐사율은 주구각이 형성되는 10일 경과 후는 약 $8\%$가 폐사하였고, 수온이 $10^{\circ}C$로 하강하는 (28일 경과) 때는 $67.9\%$, 제 1호수공이 생기는 (110일 경과) 때는 $79.0\%$, 월동이 끝나는 170일 경과 후는 약 $87.0\%$가 폐사되어 생잔율은 약 $13.0\%$였다. 6. 초기 먹이인 Navicula sp.의 부착 성적은 표면 5cm 하에서는 17일이 경과한 후 $34.3\times10^4/cm^2$개체로 증가하였고 수면 45 cm하에서는 15일만에 $27.2\times10^4/cm^2$ 개체로 증가되었으며 저면인 85 cm하에서는 15일만에 $26.3\times10^4/cm^2$ 개체로 증가되었다. 7. 3.0 mm 크기의 새끼 전복의 1개월간의 전체 이동 저리는 11.36m였으며, $18:00\~21:00$ 사이가 52.2 이동율로서 가장 이동이 심하였다. 8. 2.0mm내외의 전복은 $0^{\circ}\~\;-1.8^{\circ}C$의 수온 범위에서 $16:00\~20:00$시까지는 1.15 cm의 이동이 $0:00\~08:00$시 까지는 0.1cm의 이동이 있었다. 9. 동해안 쪽인 포항 연안파 남해안 쪽인 여수돌산도아 흑산도에서 채집된 전복에 대하여 각장에 대한 과의 관계를 보면 돌산도산 $W=0.2479\;L^{2.5721}$, 흑산도산 $W=0.1001\;L^{3.1021}$, 포항산 $W=0.9632\;L^{2.0611}$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해안 쪽의 포항산이 남해안산에 비하여 각장에 대한 체중의 증가가 완만한 것으로 보였다.

The spawning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as induced In October 1969 by air ex-position for about 30 minutes. At temperatures of from 14.0 to $18.8^{\circ}C$, the youngest trochophore stage was reached within 22 hours after the egg was laid. The trochophore was transformed into the veliger stage within 34 hours after fertilization. For $7\~9$ days after oviposition the veliger floated in sea water and then settled to the bottom. The peristomal shell was secreted along the outer lip of the aperture of the larval shell, and the first respiratory pore appears at about 110 days after fertilization. The shell attained a length of 0.40 mm in 15 days, 1.39 mm in 49 days, 2.14 mm in 110 days, 5.20 mm in 170 days and 10.00 mm in 228 days respectively. Monthly growth rate of the shell length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L=0.9981\;e^{0.18659M}$ where L is shell length and M is time in month. The density of floating larvae in the culture tank was about 10 larvae per 100 co. The number of larvae attached to a polyethylene collector ($30\times20\;cm$) ranged from 10 to 600. Mortality of the settled larvae on the polyethylene collector was about $87.0\%$ during 170 days following settlement. The culture of Nauicula sp. was made with rough polyethylene collectors hung at three different depths, namely 5 cm, 45 cm and 85 cm. At each depth the highest cell concentration appeared after $15\~17$ days, and the numbers of cells are shown as follows: $$5\;cm\;34.3\times10^4\;Cells/cm^2$$ $$45\;cm\;27.2\times10^4\;Cells/cm^2$$ $$85\;cm\;26.3\times10^4\;Cells/cm^2$$ At temperatures of from 13.0 to $14.3^{\circ}C$, the distance travelled by the larvae (3.0 mm In shell length) averaged 11.36 mm for a Period of 30 days. Their locomation was relatively active between 6 p.m. and 9 p.m., and $52.2\%$ of them moved during this period. When the larvae (2.0 mm in shell length) were kept in water at $0\;to\;\~1.8^{\circ}C$, they moved 1.15cm between 4 p.m. and 8 p.m. and 0.10 cm between midnight and 8 a.m. The relationships between shell length and body weight of the abalone sampled from three different localities are shown as follows: Dolsan-do $W=0.2479\;L^{2.5721}$ Huksan-do $W=0.1001\;L^{3.1021}$ Pohang $W=0.9632\;L^{2.0611}$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