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 각형질 상호간의 표현형상관과 유전상관

Phenotypic and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Some Characters of Mulberry Trees

  • 발행 : 1970.12.01

초록

뽕나무의 정엽중 즉 수량을 예측하고 수량과 제형질과의 관계를 알고자 우리나라 상수주요품종 4품종을 재료로 상수의 8개형질상호간의 유전상관, 표현형상관 그리고 환경상관을 계산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형질상호간의 표현형공분산, 유전공분산 그리고 환경공분산을 계산한 바 제1표와 같이 표현형공분산은 유전공분산의 값과 근사하나 다소 높고 환경공분산의 값은 그 변동이 심하다. 2. 각형질상호간의 유전상관, 표현형관계 그리고 환경상관 등은 계산한바 제2표와 같이 유전상관은 표현형상관보다 그 값이 높고 지조장과 주당지수간, 주당지수와 지총중간에 1이상의 이상치가 보였다. 3. 지조직경과 제형질상호간에는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관의 정도가 낮고, 정엽중 즉 수량과 제형질간의 상관관계를 본바 수량과 지조직경간에는 그값이 낮으나 기타 제형질은 수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뽕나무의 제형질중 예취전에 측정할 수 있는 지조장, 절간수, 지조직경, 주당지수의 4개형질이 수량의 예측이나 선발대상형질로서 중요한 형질이나 본실험의 결과 지조직경은 수량과 상관의 정도가 낮고, 주당지수는 전보의 결과에서 유전력이 낮았으므로 지금까지의 결과로는 지조장과 절간수가 더욱 중요한 형질로서 취급하여야 할 것으로 믿으며 이들 형질들과 수량과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구명하여 보는 것이 앞으로 남은 한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intended to clarify the effects of leaf yield calculations, and also aimed at estim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ome characters for the selection of desirable stocks of mulberry trees. The analysis of covariances was the variance components procedures in a replicated trial for the varieties, and also it was used to obtain the genotypic, phenotypic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s between the eight characters-branch length, node number, branch diameter, branch number per stock, total branch weight, old branch weight, new shoot and leaf weight, and leaf weight, etc.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Phenotypic, genotypic and environmental covariances are shown in Table 1 and phenotypic correlations, genotypic correlations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s are shown in Table 2. Genotypic correlation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varieties, but the variation in values due to the change of environment appeared between the characters.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the leaf yield of mulberry trees and other characters indicated that high leaf yield was genetically correlated with six characters namely branch length, node number, branch number per stock, total branch weight, old branch weight and new shoot weight, etc. It was also observed that lower correlations were appeared between the leaf yield and branch diameter, and branch diameter and other all characters studied in both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