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엽 수확고 측정에 관한 연구 - 제1보 엽면적에 의한 상엽량의 순서 -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1. Estimation of the leaf production by leaf area determination

  • 발행 : 1968.12.01

초록

상엽의 수엽량을 견적하여 잠아의 사육량을 정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개량서반, 일지뢰, 노상, 수원상4호의 4품종의 상수를 재료로 지조장, 지조직경, 절수, 지조종중량, 지조중, 엽중 그리고 엽면적의 7개형질에 대한 조사 실험을 하였다. 조사항목별 평균치, 분산, 표준편차 등을 구하고 지조장과 수엽량, 지조직경과 수엽량, 절수와 수엽량 그리고 엽면적과 이들 형질과의 관계를 보고 수엽량을 견적할 수 있도록 수식을 유도하여 보았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조장, 지조직경, 절수의 평균치, 분산, 표준편차 그리고 표준오차는 제1표와 같고 이들 평균치와 지조총중량 등을 보면 일지뢰가 제1 크고 개량서반이 다음이며 수원상4호, 노상의 순위로 되어 있으나 단위지당 엽면적은 일지뢰, 노상, 수원제4호, 개량서반의 순이고 1엽당 엽면적은 수원제4호, 노상, 일지뢰,개량서반의 순으로 되어있다. 2. 지조수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을 위하여는 y$_1$=a$_1$X$_1$$\times$p$_1$.......식\circled1이 유도되었다. 이 때 a$_1$은 지당엽량, X$_1$은 주당지조수이고 p$_1$은 반당주수를 나타낸다. 3. 지조장에 의한 엽량의 견적에는 y$_2$=(a$_2$$\pm$S. E.$\times$X$_2$)+p$_1$........식\circled2이 유도되었다. 이 때 a$_2$는 지조장 1m당 엽량, S. E.는 동표준오차. X$_2$는 주당지조장이고 p$_1$은 전기 반당주수를 나타낸다. 4. 조지직경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3$=(a$_3$$\pm$S. E$\times$X$_3$)$\times$p$_1$......식\circled3이 유도된다. 이 때 a$_3$는 지조직경, lcm당 엽중, X$_3$는 주당 지조총직경을 나타낸다. 5. 절수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4$=(a$_4$$\pm$S. E.$\times$X$_4$)$\times$p$_1$........식\circled4가 유도된다. 이 때 a$_4$는절당엽중, X$_4$는 주당총절수를 나타낸다. 6. 지조장과 엽면적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5}$= {(a$_{5}$$\pm$S. E.$\times$X$_2$)Kv}$\times$p$_1$......식\circled5 이 때 a$_{5}$는 지조 1m조 당엽면적, S. E.는 동 표준오차, X$_2$는 주당 지조장, Kv는엽면적 l00$\textrm{cm}^2$당 중량을 나타낸다. 7. 엽면적과 지조장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6}$={(X$_2$$\div$a$_{6}$$\pm$S. E.)}$\times$K$_{v}$ $\times$p$_1$......식\circled6이 유도된다. 이 때 X$_2$는 주당 지조장, a$_{6}$는 엽면적 l00$\textrm{cm}^2$당 지조장이다. 8. 지조직경과 엽면적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7}$= {(a$_{7}$$\pm$S. E. $\times$X$_3$)}$\times$K$_{v}$ $\times$p$_1$......식\circled7이 유도되고 이 때 a$_{7}$는 지조직경 lcm당 엽면적이고 X$_3$는주당 총직경을 나타낸다. 9. 엽면적과 지조직경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8}$= {(X$_3$$\div$a$_{8}$$\pm$S. E.)}$\times$K$_{v}$ $\times$p$_1$......식\circled8이 유도되고 이 때 a$_{8}$는 엽면적 l00$\textrm{cm}^2$당 지조직경을 나타내며 X$_3$, $K_{v}$ , p$_1$는전항과 같다. 10. 절수와 엽면적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9}$= {(a$_{9}$$\pm$S. E.$\times$X$_4$)$\times$K$_{v}$ }$\times$p$_1$.........식\circled9이 유도되고 a$_{9}$는 절당 엽면적, X$_4$는 주당총절수를 나타낸다. 11. 엽면적과 절수에 의한 수엽량의 견적에는 y$_{10}$= {(X$_4$$\div$a$_{10}$$\div$S. E.)$\times$K$_{v}$ }$\times$p$_1$.........식\circled10이 유도되고 a$_{10}$은 엽면적 l00$\textrm{cm}^2$당절수를 나타내며 X$_4$, $K_{v}$ , p$_1$ 등은 전항에 기술한 바와 같다. 이상 여러가지 식에 의해서 수엽량의 예상량을 견적하여 본 바 지조장에 의하는 견적치가 절수에 의하는 것보다 절수에 의해서 수엽량을 견적하는 것이 지조직경에 의하여 수엽량을 견적한 것보다 편차가 적고 이들 방법에 의하는 것보다 엽면적을 측정하여 지조장과 엽면적에 의하여 수엽량을 견적하는 것이 편차가 적고 다음이 절수와 엽면적에 의하여 견적하는 것이 나았다. 지조직경을 측정하는 것은 오차가 많고 여기에 엽면적을 측정하는 것을 가미한다고 하여도 지조직경에 의한 수엽량을 견적하는 것은 편차가 심하고 적정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없음을 일았다. 비교적 측정하기 쉬운 지조장과 지당 중앙부의 엽면적을 간이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하여 상지조를 벌채하지 아니하여도 반당수엽량을 견적하는 것은 잠아의 사육량을 정하는데 또는 노력면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의의 깊은 일이라사료된다.

Various formulae for estimation of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were investigated and obtained. Four varieties of mulberry trees were used as the materials, and seven characters namely branch length. branch diameter, node number per branch, total branch weight, branch weight except leaves, leaf weight and leaf area, were studied. The formulae to estimate the leaf yield of mulberry trees are as follows: 1. Varietal differences were appeared in means, variances, standard devitations and standard errors of seven characters studied as shown in table 1. 2. Y$_1$=a$_1$X$_1$${\times}$P$_1$......(l) where Y$_1$ means yield per l0a by branch number and leaf weight determination. a$_1$.........leaf weight per branch. X$_1$.......branch number per plant. P$_1$........plant number per l0a. 3. Y$_2$=(a$_2$${\pm}$S. E.${\times}$X$_2$)+P$_1$.......(2) where Y$_2$ means leaf yield per l0a by branch length and leaf weight determination. a$_2$......leaf weight per meter of branch length. S. E. ......standard error. X$_2$....total branch length per plant. P$_1$........plant number per l0a as written above. 4. Y$_3$=(a$_3$${\pm}$S. E${\times}$X$_3$)${\times}$P$_1$.....(3) where Y$_3$ means of yield per l0a by branch diameter measurement. a$_3$.......leaf weight per 1cm of branch diameter. X$_3$......total branch diameter per plant. 5. Y$_4$=(a$_4$${\pm}$S. E.${\times}$X$_4$)P$_1$......(4) where Y$_4$ means leaf yield per 10a by node number determination. a$_4$.......leaf weight per node X$_4$.....total node number per plant. 6. Y$\sub$5/= {(a$\sub$5/${\pm}$S. E.${\times}$X$_2$)Kv}${\times}$P$_1$.......(5) where Y$\sub$5/ means leaf yield per l0a by branch length and leaf area measurement. a$\sub$5/......leaf area per 1 meter of branch length. K$\sub$v/......leaf weight per 100$\textrm{cm}^2$ of leaf area. 7. Y$\sub$6/={(X$_2$$\div$a$\sub$6/${\pm}$S. E.)}${\times}$K$\sub$v/${\times}$P$_1$......(6) where Y$\sub$6/ means leaf yield estimated by leaf area and branch length measurement. a$\sub$6/......branch length per l00$\textrm{cm}^2$ of leaf area. X$_2$, K$\sub$v/ and P$_1$ are written above. 8. Y$\sub$7/= {(a$\sub$7/${\pm}$S. E. ${\times}$X$_3$)}${\times}$K$\sub$v/${\times}$P$_1$.......(7) where Y$\sub$7/ means leaf yield estimates by branch diameter and leaf area measurement. a$\sub$7/......leaf area per lcm of branch diameter. X$_3$, K$\sub$v/ and P$_1$ are written above. 9. Y$\sub$8/= {(X$_3$$\div$a$\sub$8/${\pm}$S. E.)}${\times}$K$\sub$v/${\times}$P$_1$.......(8) where Y$\sub$8/ means leaf yield estimates by leaf area branch diameter. a$\sub$8/......branch diameter per l00$\textrm{cm}^2$ of leaf area. X$_3$, K$\sub$v/, P$_1$ are written above. 10. Y$\sub$9/= {(a$\sub$9/${\pm}$S. E.${\times}$X$_4$)${\times}$K$\sub$v/}${\times}$P$_1$......(9) where Y$\sub$7/ means leaf yield estimates by node number and leaf measurement. a$\sub$9/......leaf area per node of branch. X$_4$, K$\sub$v/, P$_1$ are written above. 11. Y$\sub$10/= {(X$_4$$\div$a$\sub$10/$\div$S. E.)${\times}$K$\sub$v/}${\times}$P$_1$.......(10) where Y$\sub$10/ means leaf yield estimates by leaf area and node number determination. a$\sub$10/.....node number per l00$\textrm{cm}^2$ of leaf area. X$_4$, K$\sub$v/, P$_1$ are written above. Among many estimation methods. estimation method by the branch is the better than the methods by the measurement of node number and branch diameter. Estimation method, by branch length and leaf area determination, by formulae (6), could be the best method to determine the leaf yield of mulberry trees without destroying the leaves and without weighting the leaves of mulberry tre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