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수의 시기 및 방법의 차이가 수도생육 수량과 기타 실용형태질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conomical Use of Irrigation Water by Different Irrgation Periods and Its Methods on the Growth, Yield and the Factors of Rice Plants.

  • 발행 : 1968.06.01

초록

본(本) 실험(實驗)은 관개방법(灌漑方法)을 합리화(合理化)시키고 관개수(灌漑水)를 절약(節約)하는 방법(方法)으로 절수(節水)의 정도(程度) 및 절수시기(節水時期)가 수도수량(水稻收量) 및 그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으며 그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별차(別差)를 볼 수 없었으며 관개수질(灌漑水質) 기타(其他) 기온(氣溫) 강우(降雨) 등(等) 모든 값이 각처리구간(各處理區間) 동질(同質)이었다. 2. 벽간중(蘗稈重)은 절수정도(節水程度) 처리구간(處理區間)에만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며 보통구(普通區)가 좋았다. 3. 밑다짐 효과는 토양(土壤)의 보수력(保水力)이 좋아 물이 절약(節約)되었으며 모든 생육(生育)은 물론(勿論) 수량(收量)에도 33.1%, 17.8%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더욱이 30cm의 경토(耕土) 밑에 6cm의 밑다짐을 하였던바 이것은 다수확(多收穫)에도 사질토양(砂質土壤)의 개량(改良)에도 좋은 방법(方法)이다. 4. 수량(收量)에 있어서 표(表) 10,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밑다짐 절수구(節水區) 33.1%, 밑다짐 극절수구(極節水區) 17.8%, 밑다짐 보통구(普通區) 17.8%의 증수(增收)와 절수구(節水區) 17.2%, 극절수구(極節水區) 5.8%의 순서(順序)의 증수(增收)의 효과를 보였다. 5. 일주수수(一株穗數)와 일주입수(一株粒數)의 변이(變異)는 심(甚)하지 않았으나 절수(節水)의 정도(程度)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절수구(節水區), 극절수구(極節水區), 보통구(普通區)의 순서(順序)였으며 시기(時期)에 따른 효과는 초기(初期), 중기(中期), 후기(後期), 상시(常時)의 순서(順序)로 차이(差異)가 있어 수량(收量)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6. 적당(適當)히 절수(節水)를 하면 관개수량(灌漑水量)에 있어서 전량(全量)의 1/3이 절약(節約)되어 저수지(貯水池) 사용(使用)에 있어서는 동일저수량(同一貯水量)으로써 관개기간(灌漑期間)이 연장(延長)되어 어느 정도(程度)의 조발(早魃)에도 그 해(害)를 극복(克服)할 수 있고 양수(揚水機利用)에 있어서는 혼영비(渾營費)가 절약(節約)될 것이다.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10% 이상(以上)의 증수(增收)를 보이고 있다. 7. 만일(萬一) 답지대(沓地帶)가 삼투(渗透), 누수(漏水)가 (甚)심해서 보수력(保水力)이 판(板)히 낮으면 여기에다 점토(粘土)로써 밑다짐을 시행(施行)하면 그의 보수력(保水力)이 커지고 따라서 종래(從來)의 관개수량(灌漑水量)을 반감(半減)해도 족(足)할 것이며 (2 l/sec 이상(以上)을 1 l/sec로 함) 수량(收量)에 있어서 막대(莫大)한 증수(增收)를 얻게될 것이다.

Higher yield in rice paddies is greatly dependent on adequately balanced and timely supply of water. A majority of rice paddy in Korea is generally irrigated by rainfall, but in many cases it has to be supplemented by artificial irrigation for optimum rice culture. Although the water requirement of rice plant is far higher than that of other crops, submerged condition of rice paddy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e moisture requirement of rice plant varies with its growing stage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rrigation efficiency through reduction of water loss due to percolation in rice paddi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economical use of water by different irrigation period and different method of cultivation. The experimental plots were set up by means of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duplications; (a) Alltime submerged (b) Economically controlled, and (c) Extremely controlled. Three different irrigation periods were (a) Initial stage (b) Inter-stage, and (c) last stage. The topsoil of the three plots were excavated to the depth of 30cm and then compacted with clay of 6 cm thickness. Thereafter, they were piled up with the excavated top soils, leveled and cored with clay of 6cm thickeness arround footpath in order to prevent leakage. The results obtained frome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experiment plots in terms of physical and chemical contditions, soil properties, and other characteristics. (2) Colulm length and ear length are not affected by different irrigation methdos.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ture rate and grain weight of rice for the three plots. (4) The control plot which was irrigated every three days shows an increased yield over the all the time submerged plot by 17 persent. (5) The clay lined plot whose water holding capacity was held days long, needs only to be irrigated every 7 days. (6) The clay lined plot showes an increased yield over the untreated plot; over all the time submerged plot by 18 percent, extremely controlled plot by 18 percent, and economically controled plot by 33 perc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