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roach-avoidance, Stress Response, and Body Temperature of Dogs Following Removal of the Mamillary Bodies

유두체를 떼어버린 개의 접근-회피반응,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체온 변동

  • Kim, Chul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 Park, Rho-Soon (Department of Physi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 김철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 박로순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교실)
  • Published : 1968.06.01

Abstract

As a continuation of a series of work on the physiology of the mamillary bodies, 3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8 pointer dogs subjected surgical removal of this hypothalamic structure by subtemporal approach. In the first experiment, animals were tested per- and postoperatively in approach-avoidance situation. Food served as incentive, electric shock to the tongue as punishment, and response latency of postpunishment trial as an index of fear. The second experiment dealt with per- and postoperative tests in stress situation. A high frequency sound (12,000 cycle, 100 db sound for 1 hour) was regarded as a stressor, and decrease in blood eosinophil cell count as an index of response th the stress.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of rectal temperature was carried out in the third experiment, using a clinical thermometer with decimal centigrade scal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ests in approach-avoidance situation showed no indication of increased or decreased fear response following removal of the mamillary bodies. 2. Postoperative stress response was as marked as that of preoperative period, but the recovery from the stress was significantly retarded after surgery. 3. The body temperature dropped slightly, but significantly following damage to the mamillary bodies.

유두체의 기능을 탐색하기 위하여 외과 수술에 의하여 유두체를 떼어버린 개를 마련하고 수술전에서부터 수술후에 걸쳐 다음의 세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그 성적을 비교하였다. 첫째 실험에서는 먹이 먹는 개의 혀에 전기 충격을 가한다음 이어서 동물이 다시 먹이 그릇에 접근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동물이 무서움을 타는정도를 짐작하였으며, 둘째 실험에서는 높은 소리 (12,000 cps, 100 db)를 한 시간 동안 동물에게 들려 스트레스로 삼고 혈액 호산구 수의 변동을 추적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의 지표로 삼았다. 셋째 실험에서는 아침과 저녁 일정한 시간에 항문 온도를 반복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두체 제거후의 동물이 유두체 제거전 보다 무서움을 더 혹은 덜 탄다는 증거는 없었다(제 1 표). 2. 유두체가 제거된 후에도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유두체 제거전과 같은 정도로 현저히 나타나나 스트레스에서의 회복과정은 유두체 제거전에 비하여 유두체 제거후에 유의하게 지연되었다(제 1 도). 3. 유두체가 제거된 동물의 체온은 유두체 제거전에 비하여 떨어지는데 그 정도는 미약하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제 2 표).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