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ma}$-선 전신조사시 혈청단백질에 미치는 Adrenaline의 영향

Effect of Adrenaline Against TotalBody Gamma-irradiation on Serum Protein

  • 남상열 (경희대 문리대 생물학과) ;
  • 전순배 (경희대 문리대 생물학과)
  • 발행 : 1965.10.01

초록

가물치 (Ophicephalus argus CANTOR) ♂♀를 재료로 하여 두 실험군으로 나누어서 대조군에 부치사량인 25-${\gamma}$의 137Cs-${\gamma}$ 선을 조사하고 실험군에는 250${\gamma}$의 137Cs-${\gamma}$선을 조사 즉후 adrenaline (0.5cc/80g$\pm$18%)을 매일 투여하여 약 23$^{\circ}C$에서 사육하면서 혈청단백질의 전기영동상과 총혈청단백질의 변화를 1, 4, 7, 10 , 13 및 1일구간으로 분리 즉 시일적 경과로 조사하였다. 한편 가물치에서의 ${\gamma}$선 치사량은 310${\gamma}$이다. 1) 양군에서 일반적으로 1, 4, 7, 10 및 13 일구에 현저한 albumin 분설의 감소가 나타났다. 즉 대조군인 adrenaline 비투여 대조군에서 a1 및 a2 globulin 분설의 증가와 실험군이 adrenaline 투여 대조군에서 a1 및 $\beta$-globulin 분설의 증가에 다른 albumin 분설의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A/G 비고 역시 시일적 경과에 따라 감소된 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특히 adrenabine 투여 대조군의 1 일간에서 A/G비가 현저하게 감소의 지체성을 나타내었다. 2) 총혈청단백질량은 양군에서 일반적으로 1, 4 및 7일구에서 현저하게 감소되나 13 미치 16 이구에서 가물치의 정상치로 근접된 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특히 adrenaline 투여 조사군에서 4 및 7일구에서 현저하게 감소의 지체성을 나타내었다. 3) 상기의 결과로 미루어보다 명백하게 혈청단백질에 미치는 adrenaline 처리의 방어효과가 ${\gamma}$선 조사후 특히 초기상태에서 현저하게 초래된다고 생각도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