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Sweet Potatoes during Storage

한국산(韓國産) 고구마의 저장중(貯藏中)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 김재욱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춘영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호식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64.04.30

Abstract

As a part of the surve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Sweet potatoes,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of Suwon No. 118 and Suwon No. 147, which are representative varieties of sweet potatoes in Korea, were studied during storag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s. 1.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h varieties were fairy uniform with higher value of Suwon No. 147 than another. 2. The starch content and crude starch yield in the stored root tuber were shown to be considerable uniform except decrease at the earlier part of storage and in January. 3.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m showed increase at earlier part, then almost uniform except gradual decrease in later part of the storage. 4. The content of total soluble sugar were gradually increased at the earlier part, then became almost uniform at the later part of the storage. 5. The sucrose content showed gradual increase except at the earlier part of the storage in which both varieties showed different feature in decrease of the content. 6.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soluble protein were almost uniform throughout the storage.

한국산(韓國産) 고구마의 전반적(全般的)인 검토(檢討)의 일단(一端)으로서 한국(韓國)의 대표적(代表的)인 장려품종(奬勵品種)인 수원(水原) 147호(號) 및 수원(水原) 118호(號)를 $12{\sim}15^{\circ}C$에서 저장(貯藏)하여 그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경시적(經時的)으로 측정(測定)하였다. 1. 수분(水分)의 함량(含量)은 전저장기간(全貯藏期間)을 통(通)하여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하며 항상(恒常) 수원(水原) 118호(號)보다 수원(水原) 147호(號)가 높은 치(値)로서 대체(大體)로 평행(平行)하였다. 2.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고구마 수확직후(收穫直後) 및 1월(月) 내지(乃至) 2월(月)에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으나 기타(其他)의 저장기간(貯藏期間)은 대체(大體)로 큰 변화(變化)가 없이 수원(水原) 147호(號)가 수원(水原) 118호(號)보다 항상(恒常) 높다. 3. 조전분수율(粗澱粉收率)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되고 그 이후(以後)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하였다가 1월초순(月初旬)에서 서서(徐徐)히 감소(減少)되었다. 4. 환원당(還元糖)의 함량(含量)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 급격(急激)히 증가(增加)되고 대체(大體)로 큰 변화(變化)가 없다가 3월(月) 이후(以後)에 가서 점차(漸次) 감소(減少)되었다. 5. 가용성전당(可溶性全糖)의 함량(含量)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되었다가 저장중기이후(貯藏中期以後)에는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하다. 6. 자당(蔗糖)의 함량(含量)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는 수원(水原) 118호(號)는 일단(一旦) 증가(增加)되었다가 감소(減少)되고 수원(水原) 147호(號)는 그대로 감소(減少)되었고 그 이후(以後)는 두가지 품종(品種)이 모두 서서(徐徐)히 증가(增加)되는 결과(結果)를 나타낸다. 7. 전단백질(全蛋白質) 및 가용성단백질(可溶性蛋白質)은 모두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한 치(値)를 보이나 저장후기(貯藏後期)에는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