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개수(灌漑水) 수질조사(水質調査)

  • 이동석 (농업시험장 농예화학과) ;
  • 이명호 (농업시험장 농예화학과) ;
  • 전광주 (농업시험장 농예화학과)
  • Published : 1960.12.31

Abstract

1). 시기별(時期別)로 성분함량(成分含量)의 차(差)가 있었다. 2). 일반적(一般的)으로 Na.Ca.Mg.Cl.$SO_4$등(等)의 함량(含量)이 많았다. 3). 특(特)히 $SiO_5$의 함량(含量)이 세계평균함량(世界平均含量)보다 적다. 4). 상층(上層) 하층수별(下層水別)로는 커다란 함량차(含量差)가 없다. 5). p.H.는 각(各) 개소(個所)가 거의 비슷하고 여주(驪州)가 가장 높고 이리지장관개수(裡里支場灌漑水)가 떨어지고 있다. 6). 김포(金浦)의 한강(漢江)과 이리지방(裡里地方)의 관개수(灌漑水)는 여주(驪州)(한강상류(漢江上流))와 삼랑진(三浪津)(낙동강(洛東江))에 비(比)하여 Na.Ca.Mg.Cl.$SO_4$등(等)의 함량(含量)이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