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검진 보조를 위한 텍스트 감정 분류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Text Emotion Classification Model for Assisting Depression Screening

  • 정창현 (조선대학교 컴퓨터통계학과) ;
  • 설성중 (조선대학교 컴퓨터통계학과) ;
  • 이재혁 (조선대학교 컴퓨터통계학과) ;
  • 임지후 (조선대학교 컴퓨터통계학과) ;
  • 곽근창 (조선대학교 전자공학부)
  • Chang-Hyun Jung (Dept. of Computer Science, Chosun University) ;
  • Sung-Joong Seol (Dept. of Computer Science, Chosun University) ;
  • Jae-Hyuk Lee (Dept. of Computer Science, Chosun University) ;
  • Ji-Hoo Lim (Dept. of Computer Science, Chosun University) ;
  • Keun-Chang Kwak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감정 분류에 중점을 둔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oBERT(Korean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분석하고 감정 상태를 분류한다. 특히 우울증과 같은 특정 감정을 분류하며, 필요 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테스트 결과, Test Accuracy는 0.67, F1-Score는 0.69로 기존 연구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이 모델은 내담자의 감정 분석을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우울증 진단을 보조하는데 기여한다.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4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AI 헬스케어 융합대학 사업 연구임.

참고문헌

  1. 김준우, 장안성, 채지원, 장철종, 손동현.(2024). 우울증 환자 대상 AI 채팅기록 시스템의 치료적 활용. 한국정보기술학회, 985-989
  2. 신다은 and 오하영. (2023). 우울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챗봇 연구 동향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7(3), 337-347.
  3. 정인철, 이헌수, 강위창. (2015). 우울증 변증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평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6(4), 407-416. 
  4. [4]이민수. (2013). 최근 우울증의 현황 및 진단. 병원약사회지, 30(6), 505-511.
  5. 김지영, 이대국, 전수영. (2023). KoBert를 이용한 문학 감정분류. 한국학연구, 87, 5-31. https://doi.org/10.17790/kors.2023.12.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