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ire Occurrence Factors based on Public Data

공공데이터 기반 화재 발생 요인 분석

  • Da-hyun Kim (Dept. of ICT Convergence Engineering, Myongji College) ;
  • Jai-Soon Baek (Dept. of ICT Convergence Engineering, Myongji College) ;
  • Sung-Jin Kim (Dept. of ICT Convergence Engineering, Myongji College)
  • 김다현 (명지전문대학교 ICT융합공학과) ;
  • 백재순 (명지전문대학교 ICT융합공학과) ;
  • 김성진 (명지전문대학교 ICT융합공학과)
  • Published : 2024.01.17

Abstract

최근 통계자료에 따르면, 매년 화재 발생 건수와 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여러 공공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지역별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른 화재의 원인을 분석해고보가 한다. 분석을 위하여 화재 발생 건수, 시도별 공장 수와 인구수, 계절별 화재 발생수, 장소별 화재 요인에 대한 각각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별 공장 수와 비례하지않은 화재 발생 건수나, 대중적으로 생각하는 겨울철 가장 많은 화재의 발생보다 봄철에 더 많은 화재가 발생되었던 통계 결과와 같이 각 지역적인 특성이나 발화요인에 따라 화재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ire analysis in the last 10 years, average 41,257 cases per year, 2,286 casualties
  2. Gyeonggi-do News Portal - 8,169 fires in Gyeonggi-do last year…8.4% Decline Compared to 2020
  3. SSeo, M. S., Castillo Osorio, E. E., & Yoo, H. H. (2021). Predictive Analysis of Fire Risk Factors in Gyeonggi-do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9(6), 351-361.
  4. Song, D. W. (2014). Prediction of the Risk of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Using Statistics and Data Mining Techniques (Doctoral dissertation,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5. Joo-Hyung Roh, Se-Hong Min, & Min-Suk Kong. (2022). Analysis of Fire Prediction Performance of Image Classification Model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36(6), 7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