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연 연구원 창업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향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권진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길운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노두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발행 : 2024.04.20

초록

딥테크, 딥사이언스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연구자원이 풍부하고 대형기술·기초연구에 특화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원 창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간 연구원 창업은 정출연의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사업화 방식 중 하나로 여겨져왔으나, 발생 시점에서 기술료 등의 대가를 수신하는 실시권 허여(라이센싱)와는 달리 아직 연구원을 포함한 지원기관에 대한 대가 수신이 제도화 되어 있지 않고 기업의 시장진입과 정착이 창업가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는 특성으로 인해 아직 많은 정출연이 창업기업의 보육에 소극적이며, 단순 창업 승인 및 초기 보육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대다수(92%)의 정출연이 창업 관리 규정을 보유한 것에 비해 아직도 절반에 가까운(44%) 정출연이 누적 연구원 창업기업 수가 10개 미만일 정도로 아직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한 현실에서, 적극적인 연구원 창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황 파악과 더불어 벤치마킹이 가능한 사례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 및 출자관리규정이 신설된 1990년 이래 다수의 창업기업을 탄생시켰으며, 현재 연구원 창업기업 중 33.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사례를 통해 단순 창업승인에서 예비창업가 역량 강화 및 인큐베이팅으로 이어지는 연구원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역사를 살펴보고, 파급력이 높은 고성장 스타기업을 탄생시키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ETRI 창업지원 플랫폼과 앞으로 정출연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기본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길운규.심용호.김서균(2016). ETRI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의 ISA 분석을 통한 출연연 기술창업 성과 제고 정책 연구. 벤처창업연구, 11(47), 45-56.
  2. 이민화.최선(2015). 1세대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중소기업연구, 37(4), 147.
  3. 김선우(2011). 고급연구인력 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1-13.
  4. 이기백.김행미(2017). 2016년 우리나라 벤처캐피탈 투자현황. KISTEP, 09, 1-13, 19.
  5. 임현(2022). 공공TLO의 미래: 출연연 TLO를 중심으로. KISTE P, 54, 5-6.
  6. 함형욱(2015). 연구소기업의 성공사례 연구: 콜마비앤에이치(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한남대학교.
  7. 기획재정부(2009). 5차 공공기관 선진화 추진계획안.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10148&group=:#expDoc.
  8. 관계부처 합동(2023). 딥테크 유니콘 기업 창출을 위한 스케일업 R&D 투자전략(안), Retrieved from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238&pageIndex=&bbsSeqNo=94&nttSeqNo=3182626&searchOpt=ALL&searchTxt.
  9. KIAT(2022). 글로벌 산업정책동향 유럽혁신어젠다와 딥테크 혁신. Retrieved from https://www.gtonline.or.kr/kor/gtbase/all/data/policy/dataView.do?cPage=1&sch_area_cd=&sch_nat_cd=&sch_tech_first_cd=&sch_gt_base_sid=&searchClass=policy&searchClass=policy&data_sid=238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