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Conventional Citrus (Citrus grandis Osbeck, Citus junos, Citrus unshiu × sinensis, Citrus natsudaidai, Citrus × hassaku)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Ji-Won Seo (Natural Cosmetics Laboratory of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Mi-Kyeong Jang (Natural Cosmetics Laboratory of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Won-Seob Song (Natural Cosmetics Laboratory of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서지원 (순천대학교 천연화장품연구소) ;
  • 장미경 (순천대학교 천연화장품연구소) ;
  • 송원섭 (순천대학교 천연화장품연구소)
  • Published : 2023.04.27

Abstract

제주도에서 재배되어 온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244.84mg/g)와 중피(200.70mg/g) 처리구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에서와 마찬가지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에서 102.12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청견과 하귤, 팔삭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폴리페놀 처리구와 같이 당유자 처리구보다 적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의 결과에 같은 경향으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79.39%)와 중피(70.73%)에서 가장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당유자의 두꺼운 과피 구조인 외피와 중피에 에센셜 성분인 limonene, myrcene, β-ocimenes 등과 같은 향기성분들의 영향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