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VC Intra Coding Tool Selection for Low Complexity Video Coding

VVC 화면 내 부호화 복잡도 감소를 위한 부호화 기술 선택 방법

  • Kim, Bumyoon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Park, Jeeyoon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Jeon, Byeungwoo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김범윤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박지윤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전병우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22.06.20

Abstract

최신 비디오 압축 표준인 VVC(Versatile Video Coding)의 화면 내 부호화 기술이 사용하는 MIP (Matrix-based Intra Prediction), MRLP (Multiple Reference Line Prediction), ISP (Intra Sub-Partition) 기술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VTM (VVC Test Model) 10.0 을 이용한 각 기술들의 비활성화 성능은 보고된 바 있지만, 최근 버전인 VTM 16.0 을 기준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기술을 비활성화 하였을 때의 성능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VVC 의 화면 내 부호화 기술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 성능실험을 통하여 부호화 성능 또는 부호화 복잡도를 우선시하는 응용에 따라 VVC 부호화기를 경량화 시킬 수 있는 부호화 기술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 (Grand ICT 연구센터) 사업 (IITP-2022-2015-0-00742) 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사업(NRF-2020R1A2C2007673)의 연구결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