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hading on Growth of Maesa japonica Seedlings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 묘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

  • Min-Ji Park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Ju-Eun Yang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Chae-bin Lee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Yeon-Ok Seo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Byoung-Ki Choi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Eun-Young Im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Hyung-Soon Choi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박민지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양주은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이채빈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서연옥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최병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임은영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최형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Published : 2021.04.29

Abstract

빌레나무는 국내에서 제주도 서부 곶자왈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며 개체수가 희소한 종이다. 본 연구는 광 환경이 빌레나무 묘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서귀포시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내 양묘장에 차광막을 이용하여 35%, 55%, 75% 차광 처리구를 설치하였고 노지에 비차광 처리구를 비교구로 설정하였다. 2019년 7월에 삽목 증식시킨 빌레나무를 2020년 5월에 각 처리구에 이식하였다. 2021년 3월에 각 차광 처리구의 모든 묘목의 묘고, 잎의 수, 줄기 수를 측정하고 생육이 건전하고 평균적인 묘목을 각 9본씩 굴취하여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35%, 55%, 75% 차광 처리구별 평균 묘고(cm)는 각각 53.2, 51.3, 41.4, 평균 잎의 수(개)는 41.3, 42.1, 24.4, 평균 줄기 수(개)는 3.1, 2.7, 2.2로 나타났다. 평균 묘고, 잎의 수, 줄기 수는 35% 차광 처리구와 55% 차광 처리구에서 75% 차광 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건중량 분석 결과, 35%, 55%, 75% 차광 처리구별로 평균 잎 건중량(g)은 각각 11.3, 9.5, 5.5, 평균 줄기 건중량(g)은 5.6, 5.3, 2.6, 평균 뿌리 건중량(g)은 4.5, 3.6, 2.6으로 차광률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모든 부위별 건중량은 처리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지상부 대비 지하부 비율은 75% 차광 처리구에서 0.35로 가장 높았으며 35%, 55% 차광 처리구에서 0.27, 0.26로 나타났다. 한편, 비차광처리구의 모든 묘목들은 2021년 1~2월경 지상부가 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빌레나무 묘목은 노지에서 생존률이 불량하고, 차광 처리 시 차광률 증가에 따라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빌레나무의 건전한 생육 및 유무성증식을 통한 보급 증대에 기여하기 위하여 향후 온도, 수분 등 여러 환경 인자를 조절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