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Big Data Linkage Method for Managing Port Infrastructure Disasters and Aging

항만 인프라 재해 및 노후화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연계 방안 연구

  • Published : 2021.10.03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igital twin and big data-based port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that reflects smart maintenance technology. It is a technology that can evaluate aging and disaster risk by converting heterogeneous data such as sensing data and image data acquired from port infrastructure into big data, visualized in a digital twin-based control system,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meaning of big data to express the physical world and processes by combining data, which a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virtual world, and the matters to be reflected in each stage of securing, processing, storing, analyzing and utilizing necessary big data, and we would like to define methods for linking with IT resources.

본 연구는 스마트 유지보수 기술이 반영된 디지털 트윈 및 빅데이터 기반 항만 인프라 관제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항만 인프라에서 취득되는 센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 이기종 데이터들을 빅데이터화하고, 디지털 트윈 기반의 관제시스템에 가시화한다. 가상 세계의 핵심 요소인 데이터들을 결합해 물리적 세계 및 프로세스로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후도 및 재해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의 의미와 필요한 데이터 확보, 가공, 저장, 분석 및 활용의 단계별로 반영하여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고, 이를 현재의 IT자원과 연계하기 위한 방법들을 정의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ICT 기반 항만 인프라 스마트 재해대응 기술개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