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가치판단에 대한 교수학습 설계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for AI Value Judgment

  • 정민희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신승기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Jeong, Minhee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Shin, Seungki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21.07.31
  • 심사 : 2021.08.06
  • 발행 : 2021.08.12

초록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인공지능 역량을 지닌 미래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인공지능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초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고 있지만 인공지능을 만들어내는 프로그래밍 과정을 문제해결 과정으로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인공지능을 만들 때에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개발자의 가치가 투영된다. 따라서 SW교육 시 인공지능 가치 판단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가 이루어진 점에 따라 제한점이 존재한다. 향후 이와 같은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increasing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nurture future talen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ilities, AI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t school sites. Although basic software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is a tendency to view the programming process that creates artificial intelligence only as a problem-solving process. However, when cre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value of the developer who creates artificial intelligence is proje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cont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value judgment during SW educ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due to the fact that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experts.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