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지역 닥나무의 수목학 및 분자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and Dendrological Study of Paper-mulberry (B. kazinoki) in Gyeongsang-do Region

  • 고인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조아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장경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박규태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 박선미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 박선주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 정선화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Go, In Hee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o, Ah Hyeo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ang, Kyung Ju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Kyu Tae (Department of Life Sciences, Yeungnam University) ;
  • Park, Sun Mi (Department of Life Sciences, Yeungnam University) ;
  • Park, Seon Joo (Department of Life Sciences, Yeungnam University) ;
  • Jeong, Seon Hwa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발행 : 2019.04.25

초록

닥나무(Paper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속(Broussonetia)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중국, 일본, 한국 등에 자생하며 Hutchinson(1967)에 의하면 닥나무 속은 열대, 아열대, 난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세계적으로 약 6종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닥나무의 품종을 구분하는 것은 수목학적 관점으로 잎의 성상, 줄기의 색과 무늬 유무로 구분한다. 그러나 상기의 수목학적 특징은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가 유사하여 오동정의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경상도지역에서는 닥나무를 참닥나무, 머구닥나무, 개닥나무 3가지의 향명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지역 9개체 닥나무를 대상으로 수목학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식물종의 기준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엽록체 속의 matK, trnL-F, ndhF, 3개 마커와 핵에 존재하는 ITS, 총 4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고 상기 구간에서 얻어진 염기서열 비교분석 및 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유연관계를 파악하였다. 수목학적 관점으로는 품종을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웠으며 분자계통학적 연구로 모든 시료는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전통한지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닥나무류 식물자원의 분류체계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