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Quality of Life by chronic disease using Bigdata

빅데이터를 이용한 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8.10.1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based on the Big Data Platform.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the matching of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 to the health center units. In the study,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economic activity, the spouse,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community factors, the lower the population density, the lower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the more doctors engaged in medical institutions, the higher the financial independence,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해 만성질환유무에 따른 개인적 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와 통계청 자료를 보건소 단위로 매칭하였다. 연구결과 남자의 경우 나이가 어릴수록,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학력이 높은수록, 월가구소득이 많을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삶의 질이 높았다. 지역 사회 요인의 경우 인구밀도가 낮을수록, 고령인구비율이 낮을수록, 의료기관 종사의사주가 많을수록,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지역다음은 요약문 입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