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Effects of Photo&Video appeals on the Military PR: Focusing on the Effects of Humor Video according to Audience's Involvement

군(軍) 사진영상 홍보콘텐츠의 소구유형 효과 연구: '고관여·저관여' 집단의 유머영상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 Kim, jong-hyun (Sangmyung Univ. The Graduate School. Digital Image Department (ROK Army Training & Doctrine Command PAO)) ;
  • Kim, jin-su (Sangmyung Univ. The Graduate School. Digital Image Department (ROK Army HQs the chief staff of the TI&E)) ;
  • Lee, sang-eun (Sangmyung Univ. The Graduate School. Digital Image Department) ;
  • Yang, jong-hoon (Sangmyung Univ. The Graduate School. Digital Image Department)
  • 김종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육군교육사령부 정훈공보실)) ;
  • 김진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이미지학과 (육군본부 정훈과)) ;
  • 이상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이미학과) ;
  • 양종훈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이미학과)
  • Published : 2018.05.11

Abstract

육군은 국민들이 육군의 정책을 흥미 있으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머 기법을 적용한 사진영상 홍보콘텐츠를 온라인 홍보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머가 육군에 관한 메시지 전달 기법으로 유용한지를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바탕으로 고 저유머 홍보 동영상을 고 저관여 집단에게 보여준 후 인지 정서적 요소(주의-기분-신뢰)와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머는 육군 홍보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며, 주의와 기분 요소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고, 이러한 주의와 기분 요소는 태도 형성에 상관관계가 있고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