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물 히트펌프를 이용한 공조 및 음용수급수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ir-conditioning and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using air-water heat pump

  • 백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 강석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 장재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 김영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Paek, Yee (Energ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ang, Sukwon (Energ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Jang, Jae-Kyung (Energ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Young-Hwa (Energ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발행 : 2017.04.06

초록

지구 온난화에 따른 환경변화로 인하여 최근 10년('02~'11)간 여름의 일수는 4일, 겨울 일수는 16일 각각 증가하였다. 현재 육계사 내의 고밀도 밀집사육으로 인하여 고온스트레스로 하절기 육계의 폐사율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6년 폭염으로 닭 406.1천수, 오리 15.7천수, 메추리 70천수, 돼지 8천수가 폐사하였다. 이에 혹서기 가축이 약430만수가 폐사하였으며 피해 보상금액 128억원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절기 고온스트레스 경감과 폐사율 저감을 위해 계사 냉난방 공조와 냉온 음용수 급수를 병행할 수 있는 고효율 환경 개선 시스템을 개발하여 고온스트레스 저감 및 생산성 향상에 목적이 있다. 계사 냉난방 공조 및 냉온음용수 급수 병행 시스템 설계요인을 분석하고 냉난방 공조부하, 냉온수 생산 부하를 고려한 시스템 용량 산정하고 히트펌프, 축열조, 냉난방 및 냉온수 분배장치 등 구성요소로서 공조 및 냉온음용수 급수시스템을 설치하였다. 시스템 용량은 공기-물 히트펌프(10kW,1대), 축열조(10톤), 음용수조(2톤), 열교환기(열교환량,5만kcal/h), 물순환펌프(250W,2대) 및 팬코일유닛(1만kcal/h,4대)으로 시스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개발하여 계사 내 환경, 시스템 성능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저장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위치별 온습도, 체중, 사료섭취량, 페사율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계사의 내부온도는 시험구에서는 평균 $25.3^{\circ}C$를 나타내었고 대조구에서는 평균 $28.1^{\circ}C$로서 $2.8^{\circ}C$ 높게 나타났으나 상대습도는 시험구 76.2%, 대조구 75.0%로 큰 차이가 없었다. 냉수급여에 따른 계사 높이별 내부온도는 상하의 온도차가 $4.5^{\circ}C$로 크게 차이가 났다. 육계의 음수량은 혹서기 냉수를 급여한 시험구에서 일일 23.2L, 대조구에서는 21.5L를 섭취하였다. 일일 사료섭취량은 냉수를 급여한 시험구에서 937g, 대조구에서는 725g을 섭취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냉수를 급여한 시험구가 212g 많이 섭취하였으며 사료요구율은 시험구는 1.86, 대조구는 1.91로서 시험구가 낮게 나타났다. 체중은 냉수를 급여한 시험구가 359g 많았으며 증체량은 냉수를 급여한 시험구에서 495g, 대조구에서는 392g으로 나타났다. 폐사율은 냉수를 급여한 시험구에서 84%가 폐사율을 줄일 수 있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