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con-based Internet of Things(IoT) analysis of the Case Study

비콘 기반의 사물인터넷(IoT) 활용 사례 분석

  • Hwang, Hyun-seo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Park, Jin-tae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Yun, Jun-soo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Phyo, Gyung-soo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Moon, Il-young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Lee, Jong-sung (CodeNex)
  • 황현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진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윤준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표경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문일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종성 (코드넥스)
  • Published : 2015.10.26

Abstract

Beacons have been noted in the core of the recent things Internet. It is also the technology is spreading most rapidly among the things Internet-relat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Beacon is a data 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provides information that is customized to know the user's location. Using the BLE technology, to grasp the position of such people and goods. In addition to the non-contact method, sinc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in the maximum 70m, it has attracted the interest than the NFC. Beacon, guidance for the current coupon, you can use as an advertising platform, such as the provision of product information, it has also been used in the indoor positioning service.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bout whether Case Study beacon is utilized how in the Internet of Things, were analyzed. Beacon exit the smart phone, the date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wearable device, such as Google glasses and smart watch was not far away. Future it is expected or beacons are used everywhere to be expanded.

최근 사물인터넷의 핵심으로 비콘(Beacon)이 주목받고 있다. 사물인터넷 관련 통신기술 중 가장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기술이기도 한다. 비콘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해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 기술이다.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이랑 사물 등의 위치를 파악한다. 비접촉 방식에다 최대 70m 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NFC보다 더 관심을 받고 있다. 비콘은 현재 쿠폰 안내, 제품 정보 제공 등의 광고 플랫폼으로 이용하거나, 실내 측위 서비스로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콘이 사물인터넷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활용 사례에 대해서 소개 및 분석하였다. 비콘이 스마트 폰에서 벗어나 구글 글래스 및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되어 사용될 날이 멀지 않았다. 향후 비콘이 어디까지 확장되어 사용될지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