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ends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Network Configuration of Smart Society

공간정보 기술동향과 스마트사회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5.05.26

Abstract

Currentl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configuration, and system regarding spacial information policies show the little progress. However, these studies only propose the basic structure system in terms of a policy theory, seeking and suggesting the basic concept to establish spacial information policies. In the shift of a new paradigm from a PC-based paradigm that began in the mid-2000s to the current smart society based on mobile devises, such as smart phones, this study thus reviewe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ropulsion to establish the desired future strategy for the spatial technology policy with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at can influence the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analyze a variety of issues and technological changes on geospatial intelligence at the global level an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road-map for policies and research & development on domestic geospatial information.

재 공간정보정책에 관련하여 그 개념이나 구성 및 체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며, 그 연구들마저도 정책이론관점에서 공간정보정책의 기본 구조체계를 제시하는 정도이며, 공간정보정책을 정립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본 개념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기존의 PC기반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반으로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라는 현재의 스마트사회에 있어, 한국의 미래국가경쟁력을 좌우할 공간정보 기술정책의 바람직한 미래전략설정을 위한 그 추진의 전략방향을 고찰하고 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글로벌 차원에서 지리공간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와 기술 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국내 지리 공간정보에 대한 정책 및 연구 개발 로드맵 수립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