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중심점 움직임 분석을 통한 유치원교육콘텐츠의 감성유발 평가기술 개발

Development of Emotion Evaluation Techniques on Kindergarten Education Contents Using Head Movement Analysis

  • 김종화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김송이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차예술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강은혜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김진만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최유정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박병하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김용성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김성동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 박영충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
  • Kim, Jonghwa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Kim, Songyi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Cha, Yesool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Kang, Eunhye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Kim, Jinman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Choi, Yujeong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Park, Byoungha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Kim, Yongsung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Kim, Seong-Dong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 Park, Youngchoong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Department of Realistic Media Platform Research Center)
  • 발행 : 2015.05.01

초록

다감각 자극을 사용한 유치원 교육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머리중심적 움직임 분석을 사용한 감성인식 기술을 개발하였다. 유치원 교육콘텐츠는 청각/후각/시각 등의 다감각 자극을 통해 교육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감각 자극동안 유치원생들의 감성유발을 측정하여 교육서비스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인식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인식기술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단영상을 측정하고, 머리중심점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유발된 감성을 인식한다. 또한 감성인식 결과는 다감각 자극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전달되어 다감각 자극을 제시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교육콘텐츠의 감성유발 결과를 평가할 수 있으며,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도구로써 활용가능하였다. 더욱이, 교육콘텐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공간에 적용하여 효과 검증 및 서비스 효과 증가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