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to Support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HTTP 기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연구의 비교·분석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DASH is a well-known streaming technology, which was proposed in 2010 by MPEG and standardized in 2011. Major multimedia contents service providers, including Apple, Microsoft, and Adobe are all using this technology to support their media streaming services. Whenever a new service is requested to the server, the DASH technology helps servicing the multimedia streaming to client by recognizing the capacity of network and by adapting the quality of the multimedia contents. In DASH, the quality of multimedia contents will be automatically lowered to meet the fluctuating network status, when undesirable breaks interrupt the network. In this paper, we classified and analys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ASH researches in three aspects: bit-rate measurement method, bandwidth aggregation method; rate adaptation metrics, algorithms and logics; user's experiences and QoE.

DASH는 2010년 MPEG(동화상전문가그룹)에서 개발된 스트리밍 기술이며, 2011년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도비 등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응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요청 시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을 분석, 적절한 대역폭을 사용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즉, 고품질의 미디어 전송 중, 가용 대역폭이 급격히 하락하는 경우, 저품질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끊김 없이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DASH 기술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전송 속도와 대역폭 측정방식, 전송 속도 결정 알고리즘, 사용자 경험 (QoE) 평가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각 연구의 장 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가용 대역폭 변화가 심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DASH 기술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요소들을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