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HfO2 Thin Film for Blocking Layer of Dye-Sensitized Solar Cell

  • 조대희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 이경주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 송상우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 김환선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 천은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 장지훈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 문병무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발행 : 2014.02.10

초록

DSSC (Dye-Sensitized Solar Cell)의 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와 전해질 사이의 전자 재결합(Back reaction)은 DSSC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locking layer로서 $TiO_2$ 가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HfO_2$ 를 Blocking layer로 사용하여 전자 재결합으로 인한 효율 저하를 막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TiO_2$ 대비 $HfO_2$는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가지고 있어, TCO와 전해질 사이에 전자 재결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DSSC의 효율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효율 측정은 1sun (100 mW/cm, AM1.5)조건에서 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측정 했으며, 전자 재결합 감소는 Dark Current,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의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HfO_2$를 이용한 blocking layer를 염료 감응 태양전지에 적용하면, 전자 재결합에 의한 손실을 줄여 성능적 측면에서 개선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