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a-Analysi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ing on the Related Research in Korea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정보기술의 행위의도에 관한 메타분석: 우리나라 학회지에 게재된 관련연구 중심으로

  • Published : 2013.10.25

Abstract

A Meta-analysis is a statistical literature synthesis method tha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view the research context by combining and analyzing the quantitative results of many empirical studi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has been the subjects of a great deal fields and now also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Recently,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fields are the biggest issue. At this point, we conducted a Meta-analysis research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was targeted a total of 36 research papers that are setting up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mong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before 2013.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size was 0.571 in the path from attitude toward behavior to behavioral Intention, it showed that the effect size was 0.381 in the path from subjective norm to behavioral Intention. And, it showed that the effect size was 0.481 in the path fro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 behavioral Intention. Also, it showed that the effect size was 0.421 in the path from behavioral Intention to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differen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vious research.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여러 가지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계속 연구되고 있다. 최근 정보시스템과 정보통신 분야가 가장 큰 이슈이다. 이러한 시점에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정보기술에 대한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이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계획된 행동이론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총 3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행위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571로 보였으며, 주관적 규범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381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행위통제에서 행동의도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58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도에서 행동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421을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