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usan Port Throughput Routing analysis

부산항 물동량 경로 분석

  • Jo, Min-Ji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Ganbat, Enkhtsetseg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Hwan-Seong (Division of Logistics automatic,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조민지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
  • 김환성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13.06.27

Abstract

With development of port industry, inland transportation was also the developed. Connecting port with inland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So studies about cargo flow from ports to regions are actively in progress. But freight statistics from regional to national has a problem that do not comprehend exactly with freight flow. Also these statistics don't reflect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reight flow of container with the introduction of P/C and rebuilding freight statistics from regional to national scale.

국내 항만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내륙운송 산업 또한 발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항만은 내륙과 연결하는 거점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만과 각 지역들 간의 화물 흐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종점 통계 자료는 단순하게 O/D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되어 화물의 정확한 운송경로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통계자료는 철도를 이용한 복합운송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P/C개념을 도입하여 부산항을 입출항하는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화물경로분석을 실시하여 화물의 정확한 운송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각 지역 간의 기종점 자료를 재구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