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about Installation Trend for Exterior in Domestic

국내 외장재 설치동향 조사 및 화재위험성 분석

  • 민세홍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소방방재공학과) ;
  • 장영진 (가천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
  • 사재천 (가천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
  • 이재문 (창우FE&C) ;
  • 윤정은 (가천대학교 화재소방과학연구센터) ;
  • 김미숙 (가천대학교 화재소방과학연구센터) ;
  • 김연황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최근 고도성장에 발맞추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를 실시하면서 외단열시스템(EIFS) 외장재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건물의 외관상의 디자인을 중시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소재의 외장재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장재를 통해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이른바 동시다발성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10년 부산해운대의 고층건물에서 외장재를 통해 연소 확산된 화재가 발생하면서 건축물의 외장재의 관한 규제가 절실해졌다. 현재 국내 건축법과 소방법에는 내화구조 및 내장재에 관한 기준은 있지만 외장재에 관한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현재 건축물 외장재의 법제화를 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와 실험이 진행 중에 있다. 이런 노력에 앞서 현재 상용되는 외장재의 종류를 살펴보고 국내 건축물에 적용된 외장재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