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사 자동 교정 방법

Automatic Korean postposition checking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이다니엘 (충북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 곽수정 (충북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 박용민 (충북대학교 디지털정보융합학과) ;
  • 김보겸 (충북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재성 (충북대학교 디지털정보융합학과)
  • Lee, Daniel (Dept. of Information & Industri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wak, Sujeong (Dept. of Information & Industri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ngmin (Dept. of Digital Informatics and Converg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Bogyum (Dept. of Computer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 Sung (Dept. of Digital Informatics and Converg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2.10.06

초록

한국어 조사는 다른 외국어에는 대응하는 어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때 조사를 가장 어려워한다. 특히, 한국어에서 조사는 문법적 특징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형태소이며 문장의 뜻을 매우 다르게 바꿀 수 있으므로 올바른 사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민이 입력한 불완전한 한국어 문장에서 조사를 올바르게 교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주어진 문장에 대해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와 품사 태거를 이용하여 체언과 용언을 추출하고 이를 세종 용언 사전과 체언 사전의 문형 정보를 이용하여 올바른 조사를 부착하고 교정해 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