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ding Process Development for Pitting Resistance Improvement on Super Duplex STS welds

슈퍼 듀플렉스STS 용접부의 내공식성 향상을 위한 용접공정 개발

  • Byun, Jae-Gyu (Dept. of Material Processing Eng.,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 ;
  • Jun, Jae-Ho (Dept. of Material Processing Eng.,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 ;
  • Kim, Seung-Won (Doosan Heavy Industries Co., Ltd., Nuclear Power Plant) ;
  • Lee, Jae-Hyeong (Doosan Heavy Industries Co., Ltd., Nuclear Power Plant) ;
  • Ahn, Soon-Tae (KISWEL Co., Ltd., R&D Center) ;
  • Park, Cheol-Gyu (KISWEL Co., Ltd., R&D Center) ;
  • Jang, Jong-Hun (KISWEL Co., Ltd., R&D Center) ;
  • Jung, Byong-Ho (Div.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 Cho, Sang-Myung (Div. of Material Science &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변재규 (부경대학교 대학원 소재프로세스공학과) ;
  • 전재호 (부경대학교 대학원 소재프로세스공학과) ;
  • 김승원 (두산중공업 원자력 BG) ;
  • 이재형 (두산중공업 원자력 BG) ;
  • 안순태 (KISWEL 기술연구소) ;
  • 박철규 (KISWEL 기술연구소) ;
  • 장종훈 (KISWEL 기술연구소) ;
  • 정병호 (부경대학교 금속공학과) ;
  • 조상명 (부경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Published : 2012.06.21

Abstract

Duplex STS는 응력부식 저항이 큰 페라이트상과 우수한 내식성을 제공하는 오스테나이트상이 미세하게 1:1로 결합하여 강도가 오스테나이트 STS 보다 최소 1.7배 이상 높을 뿐 아니라 공식(pitting)과 응력부식 저항성이 우수해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고내식 고강도 재료이다. STS의 내식성을 평가하는 여러 지수 중 Pitting에 대한 내식성을 평가하는 지수로서 PREN (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이 있다. PREN =%Cr + 3.3%(Mo + 0.5%W) + 16%N PREN이 30 이상이면 해안지역에서 사용가능하나, PREN이 40 이상인 경우에는 원자력발전소, 탈황 설비, 해수설비 및 화학Plant 등 고내식 환경에서 주로 사용가능하다. PREN이 40 이상인 Super Duplex STS은 다량의 Mo와 N을 첨가하여 만든 제품으로, 최근 10여 년 동안 해수 냉각 설비, 해수 담수화 설비, 탈황 설비, 석유화학 설비 및 원전용 CASK 등의 다양한 분야에 그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Super Duplex STS의 TIG용접에서 실드가스 중의 $N_2$의 첨가가 PREN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드가스 중 $N_2$가 용접금속으로 침입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용접조건 변화에 따른 용접금속 내 N의 함량을 측정하여 PREN을 계산하고, 용접금속의 기계적 특성과 미세조직을 검토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