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nsitivity analysis for ergonomic checklist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근골격계질환 위험도관련 주요 평가도구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

  • Published : 2011.04.23

Abstract

It has been very important to have an exact evaluation for risk factors in order to prevent MSDs(Musculoskeletal Disorders). However, most MSDs evaluation checklists have always been some problems of possibilities associated with subjective evalu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onduct a sort of sensitivity analysis on three major evaluation checklists(OWAS, RULA, REBA). Specifically, major subjects in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as follows; comparison of the results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subjects, analysis for the consistency of the results in terms of different evaluation tim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results by RULA and by REBA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subjects. This might due to the fact that experienced subjects have had better ability to detect the bad working posture during evaluation. However, the results by OWAS did not give any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subjects., 2) All three checklis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different evaluation times. Further study on this subject would eventually provide a sophisticated evaluating guidelines for MSDs regarding determination of subject-specific evaluation, identification of repetitive number of evaluations for stable results for each checklist, determination of job-specific evaluation methods, and so on.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제일 중요한 요소는 관련위험 요인들에 대한 정확한 평가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도 평가도구들은 주관적평가의 가능성에 대한 지적을 많이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지적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주요 평가도구들(OWAS, RULA, REBA)에 대한 일종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1) 숙련자와 비숙련자에 의한 평가결과에 대한 비교, 2) 평가 시점에 따른 평가 결과의 일관성에 대한 비교.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ULA와 REBA의 경우, 숙련자와 비숙련자 간에 평가결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반면에 OWAS의 경우에는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에 평가결과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적용된 모든 평가도구들은 그 결과에 있어서 평가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에 따른 1차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 후 형식이나 내용면에 있어서 좀 더 확장된 개념의 연구의 수행을 통하여 평가도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지침을 도출해 내리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