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icrostructure evolution and the efficiency of DSSC Counter Electrode with MWCNT addition

카본나노튜브 분산도에 따른 DSSC 상대전극 미세구조와 효율 변화

  • Yu, Byung-Kwan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 Han, Jeung-Jo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 Noh, Yun-Young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 Jang, Hyun-Chul (Depatment of Nano Science &Technology, University of Seoul) ;
  • Sok, Jung-Hyun (Depatment of Nano Science &Technology, University of Seoul) ;
  • Song, Oh-Sung (Depatment of Nano Science &Technology, University of Seoul)
  • 유병관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한정조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노윤영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장현철 (서울시립대학교 나노소재공학과) ;
  • 석중현 (서울시립대학교 나노소재공학과) ;
  • 송오성 (서울시립대학교 나노소재공학과)
  • Published : 2011.05.27

Abstract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상대전극으로 MWCNT(multi-walled carbon nanotube)의 농도 (0.01~0.06g)를 달리하여 FTO(fluorine-doped tin oxide) glass에 분산시켜 상대전극을 만들었다. 그리고 glass/FTO/$TiO_2$/Dye(N719)/electrolyte(C6DMII,GSCN)/MWCNT/FTO/glass 구조를 가진 0.45$cm^2$급 DSSC(dye-sensitized solar cells) 소자를 만들었다. 소자의 미세구조, 분산정도, 광특성은 각각 광학현미경, SEM, source measure unit (Keithley model 2400) 장비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MWCNT 농도 증가와 FTO의 거친 표면형상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MWCNT 분산면적이 증가하였고, MWCNT 농도 0.06g일 때 FTO 표면에 전체적으로 MWCNT가 완전히 분산됨을 확인하였다. 소자의 광변환 효율은 MWCNT 분산면적에 비례하는 효율을 보였고, MWCNT 분산농도인 0.06g 일 때 4.49%의 광변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