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trend and prospect of upper stage engines

상단 액체추진기관 개발 동향 및 활용 전망

  • 김지훈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연구본부) ;
  • 이선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응용미래기술센터) ;
  •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연구본부) ;
  • 오승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연구본부)
  • Published : 2010.11.25

Abstract

To insert payload to the orbit over the 200km-altitude using launch vehicle which has 300sec the Isp, multi staging technique for launch is necessary. The range between the sea-level to the transfer orbit about 200~250km is for operation of 1st and 2nd rocket engines and the higher altitude is for propulsion system of the acceleration block and satellite. The upper stage rocket engine should have the high technology for entering the payload into the orbit precisely more than the performance for high thrust level. With this investigation of the upper stage rocket engines which have been used, we want to understand their development trend and prospect which is going to be references for the development of ours.

비추력이 300초 정도 되는 발사체로 고도 200km 이상의 궤도에 페이로드를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2단 이상의 단 구성이 필요하다. 전이궤도인 고도 200~250km 까지는 1단과 2단 로켓 엔진의 작동 영역이고 그 이상은 최상단 가속블록과 인공위성의 추진기관이 작동하는 영역이다. 최상단의 엔진은 페이로드를 목표한 궤도에 정확하게 투입시키기 위해 높은 추력은 아니지만 정밀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현재 운용 중인 상단 엔진에 대한 조사와 정리를 통하여 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의 고성능 상단 엔진을 개발하는데 참고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