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범죄의 동기분석 및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vation analysis and prevantion of incendiary crime

  • 김수진 (우송정보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 김수진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소방행정)
  • 발행 : 2010.04.22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들어서도 자신의 생활고나 사회에 불만을 가진 연쇄방화, 특히 차량방화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하철방화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방화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의 관심은 그리 높지 않은 게 현실이다. 방화범죄를 수사하는 수사기관이나 방화화재를 예방 진압하는 소방기관에도 아직 방화범죄를 담당하는 전담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앞으로도 방화범죄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방화범죄의 위험성에 관한 인지 및 관심도를 제고하고, 방화범죄의 통제에 효과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Nowadays, the arson is not common interest happening. the arson has been handled with a crime of violence along with murder, robbery and rape. because of being detrimental to the public clam. but the arson a has not been made award of a serious social problem. There is a rise in the control pos-sibility according to a level of national concern. we have known that the last fire accident of the Dea-gu underground It took a heavy toll of lives and the property due to our no interest in arson.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make up for legislation and systematize to correct a defect but also there is uniting the countermeasure system of the organs. The government establish particular research institution of the arson to consider a useful countermeasure.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concern and cognition of people and to search for the effective approach on the control of crime arson which is increasing recent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