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고주파 메모리 구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lementation of a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

  • 유병석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공학과) ;
  • 김영길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공학과)
  • 발행 : 2010.05.27

초록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 (이하 DRFM)은 입력되는 RF신호를 저장 후 필요한 시점에 입력된 RF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써 Jammer, EW시뮬레이터, Target Echo Generator 등 사용되는 분야가 광범위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입/출력모듈, 국부 발진모듈로 구성된 고주파부와 디지털 처리부로 이루어진 DRFM의 하드웨어적 구현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펄스형태의 RF신호를 양자화하는 ADC(A/D conversion), 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신호를 생산하는 FPGA와 RF 신호를 생산하는 DAC(D/A conversion)로 구성되는 디지털 처리부에서 복제된 신호 생성방안을 제안한다. 이렇게 제안된 방안을 적용하여 제작한 후 모의 신호를 입력하여 얻은 시험결과를 통하여 이 제안방안의 타당성을 확인한다.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 (below, DRFM) performs RF signal data store, delay and re-transmission. DRFM is wildly used as core module of Jammer, EW simulator, Target Echo Generator etc. This paper suggests a hardware design of DRFM which is composed RF section(RF Input/Output Module, Local Oscillator Module) and Digital section(ADC module, memory, DAC module), and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ropose by the test resul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