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on Possibility of Learning with Robot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초등 정규 교육과정에서 교구 로봇 활용 교육의 가능성 탐색

  • Park, Ju-Hyun (Dept. of Robot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Han, Jeong-Hye (Dept. of Robot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o, Mi-Heon (Dept. of Robot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Park, Ill-Woo (Dept. of Information and Control Engineering, Kwangwoon Univ.) ;
  • Kim, Jin-Oh (Dept. of Information and Control Engineering, Kwangwoon Univ.)
  • Received : 2010.08.02
  • Accepted : 2010.08.04
  • Published : 2010.08.10

Abstract

As robots are prov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atisfying various needs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many students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and after-school robot classe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in the lower social economy class to use robots for their learning because of the high expense of robots. On this point, as a part of u-Learnng project,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students in the lower social economy class with the opportunities to use robots for one year. At the end of the year, we will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examine learning effects of using robots. Until now we have found many cases that show positive effects of the use of robots in students' learning.

로봇 교육의 활성화와 로봇 시장의 확장을 위해 지식경제부에서 실시한 2010년 시장검증 시범서비스사업(지능형 로봇 보급 및 확산사업)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정규 교육과정에서 교구로봇활용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교구로봇을 분류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구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교구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초등 정규 교육과정에서 로봇활용교육을 위해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을 들고 이를 추진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로봇활용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현장의 한계와 로봇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형태와 활용 목적에 따라 교구로봇을 세분화하여 분류하였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의 방향을 첫째, '인지적 영역-정의적 영역-창의성' 신장, 둘째, 통합교육의 형태, 셋째, 현장 일반화의 용이성, 넷째. 학습목표와 교구로봇활용과의 개연성, 다섯째,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 방법 지향성으로 정하고 이에 맞는 교구로봇활용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과정안은 2010년 하반기에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적용될 것이며 이후 교육적 효과에 대한 평가를 창의성을 중심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로봇활용교육이 초등 정규 교육과정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이 수업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지도안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와 함께 이론적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를 포함한 교육 당국과 로봇 관련 기업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 손쉽게 정규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의 개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로봇을 통해 인간과 이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교구로봇활용교육의 또 다른 기대효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