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on the Fire Plume Ejected from an Opening

개구분출열기류성상 예측을 위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

  • Kim, Bong-Chan (Fire & Disaster Protection Engineering of Hoseo Univ.) ;
  • Shin, Yi-Chul (Fire & Disaster Protection Engineering of Hoseo Univ.) ;
  • Koo, In-Hyuk (Fire & Disaster Protection Engineering of Hoseo Univ.) ;
  • Youn, Yoo-Hyuk (Fire & Disaster Protection Engineering of Hoseo Univ.) ;
  • Lee, Ju-Hee (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 Hoseo Univ.) ;
  • Kwon, Young-Jin (Fire & Disaster Protection Engineering of Hoseo Univ.)
  • 김봉찬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신이철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구인혁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윤유혁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이주희 (호서대학교 혁신기술.경영융합대학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 권영진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Published : 2009.04.16

Abstract

2005년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 된 이후로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지속적인 증가와 재개발및 재건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층부의 화재확대를 차단하는 발코니를 확장하는 세대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아파트 또한 불법 발코니 확장을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코니의 화재 안전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발코니유 무에 따른 상층부의 개구분출열기류확산실험을 모형실험을 통해서 실시 한 후 'NIST'에서 개발 된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사용해 해석하였다. 실험과 FDS해석, 그리고 Trajectory를 비교하여, 종횡비에 따른 1:1인 창과 횡장창과 종장창에 대해 서로 다른 분출열기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