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만신화의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한 영화의 시각화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나니아 연대기를 중심으로-

The Visualization of films for the stand on narrative of Germanic Mythology -Focused on "The Road of the Ring", "Harry Potter", and "The Chronicles Of Narnia"-

  • 백광호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콘텐츠학과) ;
  • 한명희 (동서대학교 디지털영상제작학과) ;
  • 김미진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발행 : 2009.02.09

초록

디지털 콘텐츠 산업은 전반적으로 이미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원작 소설의 성공으로 영화로 재탄생되는가하면, 영화의 성공을 통하여 원작인 소설이 다시금 주목받는 경우가 생겨나며, 소설과 영화가 동시에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은 게르만신화의 서사구조를 갖고 있는 판타지 영화를 조셉켐밸(J.Campbell)의 영웅서사 구조 12단계 분류를 적용하여 소설의 서사구조를 시각화한 영화장면을 비교분석하였다. 소설의 서사구조를 각색, 시각화 하는 경우 원작의 분위기, 스케일, 내용을 관객이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각적인 설명이 필요하며 적합한 이펙트를 사용했을 때 관객의 감정이입을 유도할 수 있다. 원작을 각색하여 시각화 하는 경우 원작의 스케일과 작가의 메시지를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전에 관객의 호응도를 단계별로 검토하여 적절한 시각적 기법(특수효과, 장면전화 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already heads toward the OSMU(One Source Multi Use) method of media. In case the success of the original novel recreates to a movie, the success of a movie is again noticed with the original novel. For this reason, a novel and movie are open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analyze through the case study of three fantasy films hav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germane myth : The Lord of The Rings, Harry Potter, The Chronicles Of Narnia based on the analysis basis : Hero's Journey 12 steps by J. Campbell, The analysis of scenes of each film visuali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novel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s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scale of the original and message of a writer, we consequently believe that these analysis will be able to be applied the appropriate visual techniques (the special effect, the scene tractions, and etc.)in visualization of films.

키워드